라벨이 It's science인 게시물 표시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22장 #발람사건 #신약묵상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 22장은 발람과 발락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처음 발람에게 “가지 말라” 고 명확히 말씀하셨지요. 하지만 발람은 여전히 보상과 명예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다시 하나님의 뜻을 묻습니다. 결국 하나님은 “가라” 고 허락하셨지만, 이는 곧 탐욕을 드러내는 시험 이었어요. 1.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야고보서 4:3은 이렇게 말합니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기 때문이라.” 발람의 기도는 순종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이미 답을 받은 상태에서 “혹시 다른 길은 없을까?” 를 묻는 욕심 어린 기도였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하나님의 “아니”라는 답을 받아들일 줄 모르고, 다시 물을 때가 많지요. 2. 하나님의 조건부 허락과 주권 하나님은 발람에게 “가라, 그러나 내가 시키는 말만 하라”라고 하셨습니다(민 22:35). 이는 곧 인간이 탐욕으로 움직여도, 하나님의 주권과 뜻은 결코 꺾이지 않는다 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8:28의 말씀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조차 사용하여 결국 선을 이루시는 분 이십니다. 3. 경고의 사건과 하나님의 은혜 발람의 나귀가 천사를 본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발람이 욕심의 길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경고의 신호 를 보내신 것이지요.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말씀, 양심, 그리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우리에게 “멈춰라, 다시 생각해라”라는 사인을 주십니다. ✝️ 교훈 하나님은 우...

미신? 아니요! 과학입니다 – 숟가락으로 병뚜껑을 두드리는 기적

이미지
  👀 미신? 아니요! 과학입니다 – 숟가락으로 병뚜껑을 두드리는 기적 한 번쯤은 경험해보셨죠? 아무리 돌려도 꿈쩍도 안 하는 병뚜껑 . 그럴 때마다 애써 무리하게 힘을 주다 보면 손바닥은 얼얼하고, 짜증만 늘어나죠. 그런데요, 저는 그럴 때마다 ‘숟가락으로 병뚜껑을 톡톡 두드리는 방법’을 씁니다 . 처음엔 그저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시도했는데, 효과가 놀라웠어요! 👨‍👧‍👦 아버지와의 소소한 일화, 그리고 감동의 순간 어느 날, 식탁에 앉아 병뚜껑을 두드리고 있는 저를 보신 아버지께서 “그거 미신 아니냐?” 며 웃으시더라고요. 저도 웃으며 “이거 진짜 돼요~” 했는데, 정작 병뚜껑이 스르르 열리는 걸 보시고는 깜짝 놀라셨어요. 그다음부터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요? 이제는 아버지께서 먼저 숟가락을 들고 병뚜껑을 두드리십니다 . 과학이냐 감이냐를 떠나, 효과가 있다는 걸 몸소 경험하셨기 때문이죠. 🔬 과학적으로도 통하는 원리! 병뚜껑을 숟가락으로 살짝살짝 두드리는 행위는 단순한 우연이 아니에요. 병 입구 주변의 압력 균형이 깨지며 , 고착된 병뚜껑의 미세한 틈이 조금씩 벌어지게 되는 거죠. 특히 병에 담긴 내용물이 탄산이거나 유리병일 경우, 병뚜껑이 밀봉된 상태에서 압력이 강하게 작용합니다. 이때 숟가락으로 병뚜껑 주변을 톡톡 건드려주면, 그 압력이 조금씩 풀리며 마찰력이 약해지는 거예요. 💡 따라만 해보세요 – 병뚜껑 쉽게 여는 꿀팁 1. 숟가락이나 나무 젓가락을 준비합니다. 2. 병뚜껑의 테두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톡톡 두드립니다. 3. 힘주지 말고, 부드럽게 여러 번 반복해주세요. 4. 이제 조심스럽게 돌려보세요. 신기하게 열릴 거예요! 이 방법은 손목 힘이 약하신 어르신이나 여성분들께도 특히 유용 합니다.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