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A life firmly rooted in the Word인 게시물 표시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광야의 처음을 기억하며 남은 날을 걷는 법 은혜 회복 실천 묵상 인생의 끝에서 묻습니다, 광야의 처음 은 무엇을 남겼나요? 끝자락에 서 보니, 시작은 의외로 광야 였어요. 길이 막막했는데요, 그 황량한 자리에서 하나님 한 분 을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 뿌린 눈물과 기도가 오늘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더라고요. 1. 왜 다시 ‘처음’을 돌아보나요? 우리는 성공과 실패를 크게 기억하지만, 삶을 바꾼 순간은 대개 길이 안 보이던 때 였습니다. 한밤의 작은 위로, 뜻밖의 손길, 새벽의 한 줄 말씀… 우연이 아니었죠.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삼상 7:12) 에벤에셀의 고백이 지금도 유효합니다. 끝의 지혜는 화려한 피날레가 아니라 초심으로의 귀환 에서 태어나요. 광야 수업의 핵심은 의존 이었습니다. 내 힘보다 크신 분께 기대는 연습이었죠. 2. 남은 인생, 무엇을 붙들며 살까요? ① 감사 — 불평보다 먼저 드리는 고백이에요 만나가 익숙해지면 금세 불평이 나왔죠. 이젠 작아 보이는 공급에도 “충분합니다” 를 말해 보자고요. 감사는 마음의 각도를 살짝 틀어 줍니다. 아침: “오늘도 숨 쉬게 하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시작해요. 한 끼 앞에서: 함께 먹는 은혜를 짧게 감사해요. 잠들기 전: 하루의 작은 기적 1가지를 기록합니다. ② 순종 — 완벽한 계획보다 오늘 한 걸음입니다 구름기둥이 멈추면 멈추고, 움직이면 따라갔습니다. 순종은 복잡한 전략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선한 선택 이죠. 완벽하지 않아도, 오늘 할 수 있는 착한 일 하나에 발을 내딛어요. ③ 사명 — 나이와 상관없이 갱신됩니다 끝자락이라고 사명이 끝난 건 아니에요. 경험·눈물·축적된 기도 는 다음 세대를 살리는 자산입니다. 나눔과 위로, 중보로 흘려보내면 사명은 더 깊어질 거예요....

말씀 위에 굳게 서는 인생 – 감정이 아니라 믿음으로 살아가는 길

📖 말씀 위에 굳게 서는 인생 – 감정이 아니라 믿음으로 살아가는 길 “오늘은 왠지 기분이 좋네요.” “어제는 마음이 울적했는데, 예배 드리고 나니 다시 힘이 생기는 것 같아요.” 우리는 신앙생활 속에서 종종 감정의 파도 에 흔들리곤 합니다. 그러나 주님은 우리가 기분 이나 상황 이 아닌, 하나님의 말씀 위에 굳건히 서기를 원하시죠. 🔹 감정은 바뀌지만, 말씀은 변함없습니다 사도 베드로는 베드로전서 1장 23~25절 에서 우리 정체성의 근원을 이렇게 전하고 있어요. “너희가 거듭난 것은 썩어질 씨로 된 것이 아니요, 썩지 아니할 씨로 된 것이니 살아 있고 항상 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되었느니라.” (벧전 1:23) 이 구절은 우리가 단순히 육신적으로 태어난 존재가 아니라는 걸 알려줍니다. 우리는 영원한 생명 을 소유한 사람들인데요, 그 이유는 바로 살아 있고 항상 존재하는 하나님의 말씀 으로 다시 태어났기 때문이에요. 🔸 사라지는 것과 영원한 것 세상의 모든 육체는 풀과 같고 , 그 아름다움과 영화는 풀의 꽃처럼 잠깐 피었다가 시들고 사라지기 마련이에요. 베드로는 우리 인생의 덧없음 을 이렇게 표현했죠. “모든 육체는 풀과 같고, 그 모든 영광은 풀의 꽃과 같으니 풀은 마르고 꽃은 떨어지되, 오직 주의 말씀은 세세토록 있도다.” (벧전 1:24~25) 이 세상은 변덕스럽고, 사람의 마음도 쉽게 바뀌는데요. 하지만 주의 말씀 은 영원히 변하지 않고 우리 삶의 기초가 되어 줍니다. 감정은 요동치지만 , 말씀은 반석 🌱 말씀 위에 세우는 신앙의 삶 말씀은 단지 책 속의 문장이 아니에요. 살아 있고 역사하며, 우리 내면을 새롭게 하는 하나님의 생명 작은 말씀이라도 매일 묵상해 보세요 – 하루에 한 구절이라도 진심으로 붙잡고 시작하면 달라집니다. 말씀을 붙잡고 기도해 보세요 – 느낌이 없을 때도, 말씀을 근거로 기도하면 믿음이 자라납니다.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