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Jesus our Lord.인 게시물 표시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광야의 처음을 기억하며 남은 날을 걷는 법 은혜 회복 실천 묵상 인생의 끝에서 묻습니다, 광야의 처음 은 무엇을 남겼나요? 끝자락에 서 보니, 시작은 의외로 광야 였어요. 길이 막막했는데요, 그 황량한 자리에서 하나님 한 분 을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 뿌린 눈물과 기도가 오늘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더라고요. 1. 왜 다시 ‘처음’을 돌아보나요? 우리는 성공과 실패를 크게 기억하지만, 삶을 바꾼 순간은 대개 길이 안 보이던 때 였습니다. 한밤의 작은 위로, 뜻밖의 손길, 새벽의 한 줄 말씀… 우연이 아니었죠.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삼상 7:12) 에벤에셀의 고백이 지금도 유효합니다. 끝의 지혜는 화려한 피날레가 아니라 초심으로의 귀환 에서 태어나요. 광야 수업의 핵심은 의존 이었습니다. 내 힘보다 크신 분께 기대는 연습이었죠. 2. 남은 인생, 무엇을 붙들며 살까요? ① 감사 — 불평보다 먼저 드리는 고백이에요 만나가 익숙해지면 금세 불평이 나왔죠. 이젠 작아 보이는 공급에도 “충분합니다” 를 말해 보자고요. 감사는 마음의 각도를 살짝 틀어 줍니다. 아침: “오늘도 숨 쉬게 하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시작해요. 한 끼 앞에서: 함께 먹는 은혜를 짧게 감사해요. 잠들기 전: 하루의 작은 기적 1가지를 기록합니다. ② 순종 — 완벽한 계획보다 오늘 한 걸음입니다 구름기둥이 멈추면 멈추고, 움직이면 따라갔습니다. 순종은 복잡한 전략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선한 선택 이죠. 완벽하지 않아도, 오늘 할 수 있는 착한 일 하나에 발을 내딛어요. ③ 사명 — 나이와 상관없이 갱신됩니다 끝자락이라고 사명이 끝난 건 아니에요. 경험·눈물·축적된 기도 는 다음 세대를 살리는 자산입니다. 나눔과 위로, 중보로 흘려보내면 사명은 더 깊어질 거예요....

광야에서 훈련받은 백성, 생명의 떡 되신 주님

이미지
  🌵 광야에서 훈련받은 백성, 생명의 떡 되신 주님 광야에 서 본 적 있으신가요? 끝없이 펼쳐진 메마른 땅, 어느 방향을 봐도 길이라 할 수 없는 그런 곳 말입니다. 낮에는 따갑게 내리쬐는 햇살이, 밤에는 뼛속까지 스며드는 추위가 온몸을 감싸는 그 척박한 곳... 게다가 마실 물도 없고, 독충과 전갈, 방울뱀까지 도사리는 위험한 장소입니다. 그런 곳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무려 40년 이라는 시간을 어떻게 지낼 수 있었을까요? 장정만 60만 명, 가족까지 포함하면 약 240만 명 의 대집단이었습니다. 몇 주도 아니고, 몇 해도 아닌, 자그마치 40년 말입니다. 하지만 이는 우연이 아니었고, 하나님의 섭리와 계획 가운데 있었던 일이에요. 애굽에서의 노예 근성을 벗겨내고, 하나님의 백성으로 거듭나기 위한 영적 훈련과 정결의 여정 이었죠. 🔥 광야의 훈련, 하나님의 돌보심 성경은 이렇게 말합니다. “너를 낮추시며, 너를 시험하사 네 마음이 어떠한지 그 명령을 지키는지 알려 하려 하셨다”(신 8:2). 광야에서 40년 동안 옷이 해어지지 않았고, 발이 부르트지 않았다고 합니다(신 8:4). 낮에는 구름기둥 으로 햇볕을 가려 주시고, 밤에는 불기둥 으로 추위를 막아주셨어요. 물 한 방울 없는 곳에서 반석을 쳐 물이 솟게 하셨고 , 밤사이 만나를 내려 아침마다 떡을 얻게 하셨죠. 🍞 떡이 아닌, 말씀으로 살아가는 길 하나님께서 이 모든 기적을 행하신 이유는 분명합니다. “ 사람이 떡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요 , 오직 하나님의 입에서 나오는 말씀으로 사는 줄을 알게 하려 하심”(신 8:3)입니다. 예수님께서도 40일 금식하신 후, 마귀의 시험 앞에서 이 말씀을 인용하시며, “ 말씀으로 사는 자 가 진짜 살아 있는 자”임을 선포하셨죠. 떡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 그것이 곧 생명임을 보여주신 겁니다. 🥖 오병이어의 기적, 그리고 진짜 떡 요한복음 6장에서 예수님은 보리떡 5개와 물고기 2마리로 5천명을 먹이시는 놀라운 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