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pride인 게시물 표시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22장 #발람사건 #신약묵상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 22장은 발람과 발락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처음 발람에게 “가지 말라” 고 명확히 말씀하셨지요. 하지만 발람은 여전히 보상과 명예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다시 하나님의 뜻을 묻습니다. 결국 하나님은 “가라” 고 허락하셨지만, 이는 곧 탐욕을 드러내는 시험 이었어요. 1.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야고보서 4:3은 이렇게 말합니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기 때문이라.” 발람의 기도는 순종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이미 답을 받은 상태에서 “혹시 다른 길은 없을까?” 를 묻는 욕심 어린 기도였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하나님의 “아니”라는 답을 받아들일 줄 모르고, 다시 물을 때가 많지요. 2. 하나님의 조건부 허락과 주권 하나님은 발람에게 “가라, 그러나 내가 시키는 말만 하라”라고 하셨습니다(민 22:35). 이는 곧 인간이 탐욕으로 움직여도, 하나님의 주권과 뜻은 결코 꺾이지 않는다 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8:28의 말씀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조차 사용하여 결국 선을 이루시는 분 이십니다. 3. 경고의 사건과 하나님의 은혜 발람의 나귀가 천사를 본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발람이 욕심의 길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경고의 신호 를 보내신 것이지요.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말씀, 양심, 그리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우리에게 “멈춰라, 다시 생각해라”라는 사인을 주십니다. ✝️ 교훈 하나님은 우...

교만은 패망의 길

이미지
  교만은 패망의 길 – 성경이 말하는 교만과 겸손 로마서 11:17-21 말씀을 통해, 성경이 말하는 교만의 위험성과 겸손의 중요성 을 살펴보겠습니다. 1. 감람나무 비유 – 우리가 받은 은혜 성경에서 감람나무 는 이스라엘을 상징합니다. 참감람나무 : 하나님과 언약을 맺은 유대인 돌감람나무 : 이방인을 의미 본문에서는 참감람나무의 가지가 꺾였다고 말합니다. 이는 일부 유대인들이 하나님을 떠난 상태 를 의미합니다. 그 빈자리에 이방인인 우리가 접붙임을 받았습니다. 즉,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로 믿음 안에 들어와 그분의 긍휼과 사랑을 경험하는 축복을 누리게 된 것 입니다. 이는 우리가 자격이 있어서가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가능했던 일 입니다. 2. 교만의 위험 – 성경의 경고 하지만 문제는, 우리가 구원의 은혜를 받고 신앙생활을 하다 보면 교만에 빠지기 쉽다는 것 입니다. ① 유대인을 정죄하는 교만 일부 유대인들이 믿음에서 멀어졌다는 이유로 자신이 더 나은 존재라고 생각하는 태도 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분명히 말합니다. 우리가 감람나무에 접붙임을 받은 것은 우리의 공로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 입니다. "자랑하지 말라. 높은 마음을 품지 말고 도리어 두려워하라." (로마서 11:20) ② 신앙의 후배를 무시하는 교만 먼저 믿었다는 이유로 늦게 믿은 사람들을 정죄하고 판단하는 태도 도 문제가 됩니다. 신앙의 선배로서 본이 되기보다는, 자신의 신앙을 자랑하고 비교하는 모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경고합니다. "하나님이 원 가지들도 아끼지 아니하셨은즉 너도 아끼지 아니하시리라." (로마서 11:21) "너도 찍히는 바 되리라." (로마서 11:22) 즉, 교만하면 누구도 안전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자랑이 아니라, 겸손한 마음으로 간직해야 합니다. 3. 교만의 본질 – 하나님 없이 살겠다는 태도 교만의 핵심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