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born again인 게시물 표시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광야의 처음을 기억하며 남은 날을 걷는 법 은혜 회복 실천 묵상 인생의 끝에서 묻습니다, 광야의 처음 은 무엇을 남겼나요? 끝자락에 서 보니, 시작은 의외로 광야 였어요. 길이 막막했는데요, 그 황량한 자리에서 하나님 한 분 을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 뿌린 눈물과 기도가 오늘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더라고요. 1. 왜 다시 ‘처음’을 돌아보나요? 우리는 성공과 실패를 크게 기억하지만, 삶을 바꾼 순간은 대개 길이 안 보이던 때 였습니다. 한밤의 작은 위로, 뜻밖의 손길, 새벽의 한 줄 말씀… 우연이 아니었죠.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삼상 7:12) 에벤에셀의 고백이 지금도 유효합니다. 끝의 지혜는 화려한 피날레가 아니라 초심으로의 귀환 에서 태어나요. 광야 수업의 핵심은 의존 이었습니다. 내 힘보다 크신 분께 기대는 연습이었죠. 2. 남은 인생, 무엇을 붙들며 살까요? ① 감사 — 불평보다 먼저 드리는 고백이에요 만나가 익숙해지면 금세 불평이 나왔죠. 이젠 작아 보이는 공급에도 “충분합니다” 를 말해 보자고요. 감사는 마음의 각도를 살짝 틀어 줍니다. 아침: “오늘도 숨 쉬게 하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시작해요. 한 끼 앞에서: 함께 먹는 은혜를 짧게 감사해요. 잠들기 전: 하루의 작은 기적 1가지를 기록합니다. ② 순종 — 완벽한 계획보다 오늘 한 걸음입니다 구름기둥이 멈추면 멈추고, 움직이면 따라갔습니다. 순종은 복잡한 전략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선한 선택 이죠. 완벽하지 않아도, 오늘 할 수 있는 착한 일 하나에 발을 내딛어요. ③ 사명 — 나이와 상관없이 갱신됩니다 끝자락이라고 사명이 끝난 건 아니에요. 경험·눈물·축적된 기도 는 다음 세대를 살리는 자산입니다. 나눔과 위로, 중보로 흘려보내면 사명은 더 깊어질 거예요....

거듭남과 구원, 같은 걸까요? 다르게 봐야 할까요?

이미지
  ✝️ 거듭남과 구원, 같은 걸까요? 다르게 봐야 할까요? 우리 신앙생활에서 자주 듣게 되는 말 중 하나가 "그분은 구원받은 분이에요." 혹은 "나는 거듭난 그리스도인입니다." 라는 고백인데요, 이 두 표현이 정말로 같은 의미일까요? 아니면 약간은 다르게 이해해야 할까요? 저 역시 처음엔 크게 차이를 두지 않았는데요, 성경 말씀을 깊이 묵상하고 기도하는 중에 ‘거듭남’은 구원의 시작점 이며, ‘구원’은 그 거듭남을 포함한 하나님의 전체적인 은혜의 여정 임을 알게 되었답니다. 🌱 거듭남이란? 성령 안에서 새롭게 태어나는 일이에요 예수님께서 밤중에 찾아온 니고데모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죠. "사람이 거듭나지 아니하면 하나님 나라를 볼 수 없다." (요한복음 3:3) 이 ‘거듭남’이라는 말은 단순한 종교적 감정의 변화가 아니고요, 성령께서 우리 영혼 안에 새 생명을 불어넣으시는 영적 출생 을 의미해요. 이전엔 죄의 유혹에 아무런 저항도 없던 사람이, 이제는 죄를 부끄러워하고, 주님의 뜻을 따르고 싶어지죠. 예전엔 지루했던 말씀이, 이제는 가슴에 와닿고 눈물이 나는 말씀 으로 다가오는 변화가 바로 그것입니다. 💖 그렇다면 구원이란 무엇일까요? 구원은 단순한 기분이나 일시적인 체험이 아니라, 죄에서 벗어나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되는 완전한 변화 를 의미합니다. 말하자면 거듭남은 구원의 문을 여는 열쇠 이고, 구원은 그 문을 통과하여 하나님의 가족이 되는 전 과정 이라 할 수 있어요. 에베소서 2:8 말씀을 보시면 이렇게 기록되어 있죠. "너희가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이 말씀처럼, 구원은 오직 은혜로 주어지는 하나님의 선물 입니다. 📌 거듭남과 구원, 무엇이 어떻게 다를까요? 구분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