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iving a life인 게시물 표시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광야의 처음을 기억하며 남은 날을 걷는 법 은혜 회복 실천 묵상 인생의 끝에서 묻습니다, 광야의 처음 은 무엇을 남겼나요? 끝자락에 서 보니, 시작은 의외로 광야 였어요. 길이 막막했는데요, 그 황량한 자리에서 하나님 한 분 을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 뿌린 눈물과 기도가 오늘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더라고요. 1. 왜 다시 ‘처음’을 돌아보나요? 우리는 성공과 실패를 크게 기억하지만, 삶을 바꾼 순간은 대개 길이 안 보이던 때 였습니다. 한밤의 작은 위로, 뜻밖의 손길, 새벽의 한 줄 말씀… 우연이 아니었죠.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삼상 7:12) 에벤에셀의 고백이 지금도 유효합니다. 끝의 지혜는 화려한 피날레가 아니라 초심으로의 귀환 에서 태어나요. 광야 수업의 핵심은 의존 이었습니다. 내 힘보다 크신 분께 기대는 연습이었죠. 2. 남은 인생, 무엇을 붙들며 살까요? ① 감사 — 불평보다 먼저 드리는 고백이에요 만나가 익숙해지면 금세 불평이 나왔죠. 이젠 작아 보이는 공급에도 “충분합니다” 를 말해 보자고요. 감사는 마음의 각도를 살짝 틀어 줍니다. 아침: “오늘도 숨 쉬게 하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시작해요. 한 끼 앞에서: 함께 먹는 은혜를 짧게 감사해요. 잠들기 전: 하루의 작은 기적 1가지를 기록합니다. ② 순종 — 완벽한 계획보다 오늘 한 걸음입니다 구름기둥이 멈추면 멈추고, 움직이면 따라갔습니다. 순종은 복잡한 전략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선한 선택 이죠. 완벽하지 않아도, 오늘 할 수 있는 착한 일 하나에 발을 내딛어요. ③ 사명 — 나이와 상관없이 갱신됩니다 끝자락이라고 사명이 끝난 건 아니에요. 경험·눈물·축적된 기도 는 다음 세대를 살리는 자산입니다. 나눔과 위로, 중보로 흘려보내면 사명은 더 깊어질 거예요....

묻고 또 묻는 믿음 – 다윗처럼 하나님께 질문하는 삶

이미지
■ 묻고 또 묻는 믿음 – 다윗처럼 하나님께 질문하는 삶 성경을 읽다 보면 우리의 마음을 흔드는 인물들이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다윗 은 특별한 사람입니다. 그는 단순한 왕이 아니라, 강력한 군사력을 갖춘 이스라엘의 지도자 였어요. 주변 국가들이 함부로 건드릴 수 없을 정도로 탄탄한 나라 를 다스리고 있었죠. 그 명성은 두로의 왕 히람이 그의 궁전을 지어줄 정도로 대단했습니다. 또 다윗은 여러 명의 아내를 두고 많은 자녀를 낳아, 당시 기준으로 매우 부유한 삶 을 살았던 인물입니다. ■ 그러나 완전하지 않았던 그의 삶 하지만, 다윗도 완벽하지는 않았어요. 그는 이웃의 아내 밧세바를 탐해 간음을 저지르고, 그 남편인 우리야를 전쟁터에서 죽게 한 살인자 이기도 했죠. 그런 다윗에게 하나님은 선지자 나단을 보내어 책망하셨습니다. 그리고 그는 침상이 눈물로 젖도록 깊이 회개하며 하나님 앞에 엎드렸어요. 죄는 분명 있었지만, 다윗은 회개의 자리에서 하나님의 용서를 구했던 사람이었습니다. ■ 하나님께 ‘계속’ 물었던 사람 다윗의 삶에서 특별히 눈에 띄는 것은 결정을 앞두고 언제나 하나님께 묻는 태도 였어요. 블레셋이 쳐들어왔을 때, 그는 자신의 판단이나 경험에 의지하지 않고, 먼저 하나님께 물었습니다. “ 내가 블레셋 사람을 치러 올라가리이까? ” – 역대상 14:10 하나님은 그에게 분명한 응답을 주셨고, 다윗은 그 뜻을 따라 전투에 나아가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블레셋이 또다시 침입했을 때도 그는 한 번 더 하나님께 여쭙습니다 . “ 다윗이 다시 하나님께 묻자온대… ” – 역대상 14:14 이처럼 그는 비슷한 상황에서도 자기 방식대로 하지 않고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