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the word인 게시물 표시

칠순잔치에 울려 퍼진 기도 – 인생의 향기, 믿음으로 피어나다

🎉 칠순잔치에 울려 퍼진 기도 – 인생의 향기, 믿음으로 피어나다 칠순이라는 숫자는 단순한 생일이 아니에요. 일곱 개의 십 년을 걸어온 그 세월은 눈물과 기도로 엮어진 생애의 연가 라 말할 수 있어요. 오늘 저희 어머님의 칠순잔치는 그저 잔치가 아니었고, 하나님께 드리는 작은 감사예배 같은 시간이었답니다. 자녀 된 저희는 마음 깊이 고백하게 되었어요. " 그 모든 시간을 인도하신 분은 누구실까? " 고된 노동과 남편을 먼저 떠나보낸 슬픔, 다섯 자녀를 혼자의 힘으로 길러낸 삶의 기록. 그 속엔 언제나 하나님의 신실하신 손길 이 함께 있었던 거예요. 그래서 잔치를 준비하며 가장 먼저 떠오른 것은 ‘감사의 기도문’ 이었어요. 단지 형식적인 순서가 아니라, 어머님의 삶이 담긴 믿음의 고백 으로 하나님께 올려드리는 진심 어린 예배가 되길 원했거든요. 🕊️ 기도하는 순간, 잔치는 은혜의 장이 되었어요 막내딸이 조심스럽게 기도문을 낭독했어요. “ 하나님 아버지, 어머님의 걸어오신 인생길에 늘 함께하심을 감사드립니다 ...” 그렇게 시작된 기도는 단순한 축하의 말이 아니었고, 그 순간부터 잔치장은 조용한 감동으로 가득 찼답니다 . 희생과 사랑으로 삶을 일궈오신 어머니 의 여정이 한 줄 한 줄 기도에 담겨 있었어요. 그 기도문을 듣는 모두의 눈가엔 눈물이 맺혔고요. 우리는 그 순간, ‘믿음의 유산’이란 말이 그냥 하는 말이 아니라는 걸 실감했어요 . 🌿 삶이 곧 예배가 되는 어머니의 모습 “ 주님, 남은 여정도 주의 은혜로 날마다 채워주소서. ” 기도가 마무리되자, 마치 하늘에서 복이 내리는 듯한 평안이 그 자리를 감싸더라고요. 누군가 이런 말을 했어요. “이건 단순한 생일이 아니라, 천국을 맛보는 예배였어요.” 그렇게 우리 가족은 다짐했답니다. 우리도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을 살아가자고요 . 그리고 그 믿음의 씨앗을 자녀들에게도 물려주자고 결심했어요 . ...

음란물 퇴음란물치법, 바알 숭배에서 벗어나는 길

◆ 음란물 퇴치법, 바알 숭배에서 벗어나는 길 ◆ “도둑이 오는 것은 도둑질하고 죽이고 멸망시키려는 것뿐이요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 (요한복음 10:10) 지금 이 시대에 영혼을 파괴하는 가장 강력한 무기 중 하나는 바로 음란물 중독 이에요. 많은 사람들은 단순한 호기심이나 습관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이것은 사단이 조용히 영혼을 무너뜨리는 전략적인 공격 이랍니다. 성경 속 바알과 아스다롯 숭배 를 떠올려 보세요. 고대에는 남신과 여신의 성관계를 재현하며 제사를 지냈고, 그 가운데 수많은 창기들과 성적 타락 이 있었어요. 오늘날의 음란 콘텐츠 소비도 그 형태는 다를지 몰라도 본질은 동일하답니다. 눈으로 보는 영상, 가볍게 여길 수 있지만 , 그 영상들이 마음에 각인되고, 영을 손상시키는 일로 이어지기도 해요. 시간이 지나면서 정신적 고립, 재정적 혼란, 건강의 저하, 인간관계의 단절 까지 경험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실제로 미국의 한 젊은 사역자 는 “기독교 남성 중 70% 이상이 음란물 중독과 싸우고 있다”고 고백했는데요, 어느 초등학교 3학년 남자아이는 24시간 음란 영상에 노출되다가 결국 정신과에 입원하기까지 했다고 해요. 눈을 감아도 영상이 떠오르고, 삶의 평안은 사라지고 말았죠. 이 중독의 무서움은 단지 죄책감이 아니라, 삶 전체가 흔들리는 결과 를 낳는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감사한 건, 우리에겐 벗어날 수 있는 분명한 길이 있다 는 사실이에요. 1. 은혜 안에서 예수님께 자백하기 죄보다 크신 것이 은혜입니다. 우리의 연약함을 들고 예수님 앞에 나아가 정직하게 고백할 때, 주님은 정죄하지 않으시고 용서해 주세요.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그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모든 불의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 (요한1서 1:9) 주저하지 말고 나오세요. 주님은 당신을 기다리고 계신답니다. ...

품어시고 사랑으로 하시는 말씀에 감동

품어시고 사랑으로 하시는 말씀에 감동 하나님의 사람으로 빚어지는 과정에서 때로는 말씀의 기준으로 책망하시며 바른 길로 이끄실 때도 있지만, 어떤 때는 하나님의 크신 사랑으로 품으시고, 말씀으로 깨닫게 하시는 은혜가 있습니다. 오늘 새벽예배 본문인 누가복음 7장 36-50절 말씀은, 그 사랑과 깨달음이 얼마나 깊고 감동적인지 보여줍니다. 바리새인 시몬이 예수님을 자기 집에 초대해 식사를 대접합니다. 그런데 그 자리에 초대받지 않은 한 여인이 찾아옵니다. 동네에서 죄인으로 소문난 여자, 향유 담은 옥합을 들고 와서 예수님의 발 곁에 서서 울며 눈물로 발을 적시고, 자신의 머리털로 닦고, 발에 입을 맞추며 향유를 붓습니다. 이 모습을 본 시몬은 속으로 중얼거립니다. “저 사람이 선지자라면, 저 여자가 누구인지, 어떤 죄인인지 알았을 텐데…” 그 마음을 아신 예수님께서 시몬을 부드럽게 부르십니다. “시몬아, 네게 할 말이 있다.” 예수님은 비유로 말씀하십니다. “빚진 자 둘이 있는데, 한 사람은 500데나리온, 다른 한 사람은 50데나리온을 빚졌다. 둘 다 갚을 능력이 없어 탕감받았다면, 누가 더 감사하고 사랑하겠느냐?” 시몬은 “많이 탕감받은 사람입니다”라고 대답했고, 예수님은 “옳다” 하시며 시몬의 시선을 여인에게 돌리십니다. “이 여자를 보아라. 너는 내게 발 씻을 물도 주지 않았지만, 이 여자는 눈물로 내 발을 적시고 머리털로 닦았다. 너는 내게 입 맞추지 않았지만, 이 여자는 끊임없이 내 발에 입 맞추었다. 그러므로 이 여자의 많은 죄가 사함받았다. 이는 그 사랑함이 많음이라.” 예수님은 여인에게 말씀하십니다.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으니 평안히 가라.” 오늘 본문에 나오는 시몬은 베드로가 아니라, 당시 흔한 이름으로 ‘갈대’라는 뜻을 가집니다. 이름처럼 시몬은 흔들리는 기준 위에 서 있습니다. 자기 의를 기준 삼아, 남을 쉽게 판단하고 정죄하는 바리새인의 전형입니다. 예수님께서 그런 시몬을 나무라지 않으시...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