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communication인 게시물 표시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광야의 처음을 기억하며 남은 날을 걷는 법 은혜 회복 실천 묵상 인생의 끝에서 묻습니다, 광야의 처음 은 무엇을 남겼나요? 끝자락에 서 보니, 시작은 의외로 광야 였어요. 길이 막막했는데요, 그 황량한 자리에서 하나님 한 분 을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 뿌린 눈물과 기도가 오늘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더라고요. 1. 왜 다시 ‘처음’을 돌아보나요? 우리는 성공과 실패를 크게 기억하지만, 삶을 바꾼 순간은 대개 길이 안 보이던 때 였습니다. 한밤의 작은 위로, 뜻밖의 손길, 새벽의 한 줄 말씀… 우연이 아니었죠.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삼상 7:12) 에벤에셀의 고백이 지금도 유효합니다. 끝의 지혜는 화려한 피날레가 아니라 초심으로의 귀환 에서 태어나요. 광야 수업의 핵심은 의존 이었습니다. 내 힘보다 크신 분께 기대는 연습이었죠. 2. 남은 인생, 무엇을 붙들며 살까요? ① 감사 — 불평보다 먼저 드리는 고백이에요 만나가 익숙해지면 금세 불평이 나왔죠. 이젠 작아 보이는 공급에도 “충분합니다” 를 말해 보자고요. 감사는 마음의 각도를 살짝 틀어 줍니다. 아침: “오늘도 숨 쉬게 하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시작해요. 한 끼 앞에서: 함께 먹는 은혜를 짧게 감사해요. 잠들기 전: 하루의 작은 기적 1가지를 기록합니다. ② 순종 — 완벽한 계획보다 오늘 한 걸음입니다 구름기둥이 멈추면 멈추고, 움직이면 따라갔습니다. 순종은 복잡한 전략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선한 선택 이죠. 완벽하지 않아도, 오늘 할 수 있는 착한 일 하나에 발을 내딛어요. ③ 사명 — 나이와 상관없이 갱신됩니다 끝자락이라고 사명이 끝난 건 아니에요. 경험·눈물·축적된 기도 는 다음 세대를 살리는 자산입니다. 나눔과 위로, 중보로 흘려보내면 사명은 더 깊어질 거예요....

가족과의 대화가 회복되면, 하나님과의 대화도 살아납니다

  💬 가족과의 대화가 회복되면, 하나님과의 대화도 살아납니다 얼마 전, 함께한 작은 모임에서 누군가 “가족 간의 대화를 통해 사랑을 나누는 법” 에 대해 이야기해주셨어요. 격식 없고 따뜻한 이야기였는데, 듣는 내내 마음에 울림이 있더라고요. 잊고 살았던 무언가가 다시 살아나는 느낌이랄까요? 생각해보면 저도 “바빠서…” 라는 말을 핑계 삼아, 가족과 깊이 대화할 시간을 많이 놓쳐왔던 것 같아요. 하루하루가 정신없이 흘러가고, 서로 같은 공간에 있어도 마음을 나누는 대화는 점점 줄어들었거든요. ✨ 단순한 진리, “안 했다면 지금부터 하면 된다”는 말 그분은 웃으며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지금까지 대화가 부족했으면, 그냥 오늘부터 시작하면 되잖아요~” 다들 웃었지만, 그 말이 제 가슴에는 묵직하게 다가왔습니다. 너무 당연한 말인데도, 우리는 때로 ‘언제부터 다시 시작해야 할까?’ 하고 망설이곤 하잖아요? 사실 관계의 회복은 복잡하지 않아요. 지금, 여기서, 한마디를 건네는 것 부터가 시작이랍니다. "오늘 어땠어?" 이 짧은 질문 하나가 굳어 있던 마음을 풀어주기도 하거든요. 👂 대화는 잘 말하는 게 아니라, 진심으로 들어주는 거예요 가족 간의 대화, 어렵게 느껴질 때가 있죠. 마치 회의하듯 딱딱하게 해야 할 것 같은데요. 사실 중요한 건 말의 기술이 아니라 마음을 담아 들어주는 태도 입니다. 상대방의 이야기를 끝까지 귀 기울여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그 사람은 “아, 내가 존중받고 있구나” 하고 느끼게 돼요. 그 순간부터 오해는 녹아내리고, 마음의 문이 열리기 시작하는 거죠. 🙏 하나님 아버지와의 대화도 똑같아요 그날 모임에서 한 분이 이렇게 말하셨어요. “우리에게는, 우리가 무슨 말을 하든 끝까지 들어주시는 아버지가 계시잖아요.” 그분은 바로 하나님 아버지 입니다. 우리가 두려움에 휩싸였을 때도, 어설픈 말로 감정을 표현할 때도, 하나님은 끝까지 들어주시고 절대로 외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