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David's Final Mission인 게시물 표시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광야의 처음을 기억하며 남은 날을 걷는 법 은혜 회복 실천 묵상 인생의 끝에서 묻습니다, 광야의 처음 은 무엇을 남겼나요? 끝자락에 서 보니, 시작은 의외로 광야 였어요. 길이 막막했는데요, 그 황량한 자리에서 하나님 한 분 을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 뿌린 눈물과 기도가 오늘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더라고요. 1. 왜 다시 ‘처음’을 돌아보나요? 우리는 성공과 실패를 크게 기억하지만, 삶을 바꾼 순간은 대개 길이 안 보이던 때 였습니다. 한밤의 작은 위로, 뜻밖의 손길, 새벽의 한 줄 말씀… 우연이 아니었죠.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삼상 7:12) 에벤에셀의 고백이 지금도 유효합니다. 끝의 지혜는 화려한 피날레가 아니라 초심으로의 귀환 에서 태어나요. 광야 수업의 핵심은 의존 이었습니다. 내 힘보다 크신 분께 기대는 연습이었죠. 2. 남은 인생, 무엇을 붙들며 살까요? ① 감사 — 불평보다 먼저 드리는 고백이에요 만나가 익숙해지면 금세 불평이 나왔죠. 이젠 작아 보이는 공급에도 “충분합니다” 를 말해 보자고요. 감사는 마음의 각도를 살짝 틀어 줍니다. 아침: “오늘도 숨 쉬게 하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시작해요. 한 끼 앞에서: 함께 먹는 은혜를 짧게 감사해요. 잠들기 전: 하루의 작은 기적 1가지를 기록합니다. ② 순종 — 완벽한 계획보다 오늘 한 걸음입니다 구름기둥이 멈추면 멈추고, 움직이면 따라갔습니다. 순종은 복잡한 전략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선한 선택 이죠. 완벽하지 않아도, 오늘 할 수 있는 착한 일 하나에 발을 내딛어요. ③ 사명 — 나이와 상관없이 갱신됩니다 끝자락이라고 사명이 끝난 건 아니에요. 경험·눈물·축적된 기도 는 다음 세대를 살리는 자산입니다. 나눔과 위로, 중보로 흘려보내면 사명은 더 깊어질 거예요....

예배는 선포입니다 – 믿음으로 준비하는 다윗의 마지막 사명

이미지
  ❖ 예배는 선포입니다 – 믿음으로 준비하는 다윗의 마지막 사명 ❖ 인생의 마지막이 가까워질수록, 어떤 사람은 모든 것을 내려놓고 싶어 하기도 해요. 하지만 하나님을 사랑했던 다윗 은 달랐습니다. 그는 노년에도 하나님을 향한 뜨거운 마음과 사명감 을 끝까지 간직하며, 자신의 삶을 마무리하는 마지막 시간까지도 하나님의 집을 위해 철저히 준비했죠 . 다윗은 아들 솔로몬을 이스라엘의 다음 왕으로 세우고 , 성전 사역을 감당할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 을 조직하며 하나님의 일을 이어갈 기틀 을 마련했습니다. 늙고 지쳤음에도, 그는 마지막까지 믿음으로 선포하며 움직였던 사람이에요. ☞ 성전을 위해 준비한 다윗, 그 믿음의 행보 게르손, 그핫, 므라리의 자손들 은 레위 지파 중에서도 특별히 성전 봉사에 헌신하도록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이었습니다. 이들은 단지 무언가를 ‘도와주는 자’가 아니라, 거룩한 일을 수행하는 제사적 직무를 가진 이들 이었죠. 그 중에서도 찬양하는 자들은 아침과 저녁으로 하나님 앞에 나아가 감사를 드리고, 찬송으로 영광을 올려드리는 역할 을 맡았어요. 그들의 목소리는 단순한 노래가 아니었고, 하나님께 올리는 향기로운 제사 였답니다. ☞ 성결하게, 구별되게, 거룩한 임무로 다윗은 아론과 모세의 자손들 을 구별하여 제사장 직무에 세우고, 나머지 사람들에게도 각각의 직분을 정해주었는데요. 문을 지키는 자, 성물을 다루는 자, 악기를 연주하며 찬양하는 자 등 모두가 하나님 앞에 성실히 수종드는 사명을 받았던 것이죠 . 이처럼 각자 다른 역할이었지만, 모두는 하나님을 예배하는 공동체의 일원 이었어요. 우리도 오늘날, 예배당 안에서뿐 아니라 삶 속에서도 예배자로 살아가야 합니다 .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