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Jehovah Nissi인 게시물 표시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광야의 처음을 기억하며 남은 날을 걷는 법 은혜 회복 실천 묵상 인생의 끝에서 묻습니다, 광야의 처음 은 무엇을 남겼나요? 끝자락에 서 보니, 시작은 의외로 광야 였어요. 길이 막막했는데요, 그 황량한 자리에서 하나님 한 분 을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 뿌린 눈물과 기도가 오늘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더라고요. 1. 왜 다시 ‘처음’을 돌아보나요? 우리는 성공과 실패를 크게 기억하지만, 삶을 바꾼 순간은 대개 길이 안 보이던 때 였습니다. 한밤의 작은 위로, 뜻밖의 손길, 새벽의 한 줄 말씀… 우연이 아니었죠.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삼상 7:12) 에벤에셀의 고백이 지금도 유효합니다. 끝의 지혜는 화려한 피날레가 아니라 초심으로의 귀환 에서 태어나요. 광야 수업의 핵심은 의존 이었습니다. 내 힘보다 크신 분께 기대는 연습이었죠. 2. 남은 인생, 무엇을 붙들며 살까요? ① 감사 — 불평보다 먼저 드리는 고백이에요 만나가 익숙해지면 금세 불평이 나왔죠. 이젠 작아 보이는 공급에도 “충분합니다” 를 말해 보자고요. 감사는 마음의 각도를 살짝 틀어 줍니다. 아침: “오늘도 숨 쉬게 하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시작해요. 한 끼 앞에서: 함께 먹는 은혜를 짧게 감사해요. 잠들기 전: 하루의 작은 기적 1가지를 기록합니다. ② 순종 — 완벽한 계획보다 오늘 한 걸음입니다 구름기둥이 멈추면 멈추고, 움직이면 따라갔습니다. 순종은 복잡한 전략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선한 선택 이죠. 완벽하지 않아도, 오늘 할 수 있는 착한 일 하나에 발을 내딛어요. ③ 사명 — 나이와 상관없이 갱신됩니다 끝자락이라고 사명이 끝난 건 아니에요. 경험·눈물·축적된 기도 는 다음 세대를 살리는 자산입니다. 나눔과 위로, 중보로 흘려보내면 사명은 더 깊어질 거예요....

여호와 닛시, 동역의 아름다움

이미지
  ✝ 여호와 닛시, 동역의 아름다움  삶을 살아가다 보면 마치 전쟁터에 선 듯한 순간들이 있어요. 그럴 때마다 성경은 우리에게 분명하게 가르쳐줍니다. 진짜 승리는 사람의 능력이 아닌,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다는 것 출애굽기 17장을 보면, 이스라엘 백성이 아말렉과 맞서 싸울 때 특별한 장면이 등장합니다. 모세가 손을 들면 이스라엘이 이기고요, 손을 내리면 아말렉이 우세해지는 묘한 전투였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모세의 팔이 지쳐 내려오고 말았다는 것이에요. 바로 그때, 아론과 훌이 곁에서 모세의 두 팔을 붙잡고 함께 받쳐줍니다. 단순한 도움 같지만, 그 행위는 이스라엘 민족에게 승리의 결정적인 전환점 이 되었죠. 🤝 동역은, 혼자가 아닌 함께 걷는 길이에요 하나님의 일은 언제나 공동체 속에서 이루어지는 아름다운 협력 입니다. 모세 혼자였다면 그 전쟁은 끝까지 버티지 못했을 거예요. 묵묵히 옆에서 팔을 들어 올려준 아론과 훌이 있었기에 가능한 승리였죠. 우리도 신앙생활을 하다 보면 지치고 힘이 빠질 때가 있어요. 아무리 믿음이 좋은 사람도, 넘어지는 순간이 찾아오곤 하죠. 그런 순간, 곁에서 묵묵히 기도해주고 눈물로 동행해주는 동역자 가 있다는 건 정말 크나큰 은혜입니다. 🎯 여호와 닛시, 주는 나의 깃발이십니다 전쟁의 결과는 결국 누가 깃발을 들고 있느냐에 달려 있는지도 몰라요. 모세는 그날의 승리를 기념하며 그곳을 ‘여호와 닛시’ 라 불렀습니다. 그 뜻은 ‘여호와는 나의 깃발’ 이라는 의미인데요. 깃발은 항상 가장 앞선 자리에 서서 방향과 중심을 제시하는 역할 을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 삶의 중심도 누구여야 할까요? 바로 하나님 자신이 깃발로 서 계셔야 합니다. 💡 지금 당신 곁에도, 아론과 훌이 있나요? 혹시 지금, 당신은 모세처럼 혼자 팔을 들고 있는 중 은 아닌가요? 기도하고 싶은데 지치고, 다시 시작하고 싶지만 힘이 빠져버린 그런 시간 말이에요....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