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Spiritual dryness is not the end인 게시물 표시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22장 #발람사건 #신약묵상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 22장은 발람과 발락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처음 발람에게 “가지 말라” 고 명확히 말씀하셨지요. 하지만 발람은 여전히 보상과 명예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다시 하나님의 뜻을 묻습니다. 결국 하나님은 “가라” 고 허락하셨지만, 이는 곧 탐욕을 드러내는 시험 이었어요. 1.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야고보서 4:3은 이렇게 말합니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기 때문이라.” 발람의 기도는 순종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이미 답을 받은 상태에서 “혹시 다른 길은 없을까?” 를 묻는 욕심 어린 기도였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하나님의 “아니”라는 답을 받아들일 줄 모르고, 다시 물을 때가 많지요. 2. 하나님의 조건부 허락과 주권 하나님은 발람에게 “가라, 그러나 내가 시키는 말만 하라”라고 하셨습니다(민 22:35). 이는 곧 인간이 탐욕으로 움직여도, 하나님의 주권과 뜻은 결코 꺾이지 않는다 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8:28의 말씀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조차 사용하여 결국 선을 이루시는 분 이십니다. 3. 경고의 사건과 하나님의 은혜 발람의 나귀가 천사를 본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발람이 욕심의 길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경고의 신호 를 보내신 것이지요.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말씀, 양심, 그리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우리에게 “멈춰라, 다시 생각해라”라는 사인을 주십니다. ✝️ 교훈 하나님은 우...

영적 침체, 끝이 아니라 회복의 시작입니다

이미지
  🌿 영적 침체, 끝이 아니라 회복의 시작입니다 “요즘은 기도가 안 나와요. 예배 시간에도 마음이 떠 있는 것 같고요.”  이런 고백, 혹시 당신의 이야기인가요? 믿음 안에서 살다 보면 누구나 겪는 시간입니다. 이것이 바로 ‘영적 침체’ 라는 깊은 골짜기인데요. 처음엔 그냥 피곤한 줄 알았어요.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말씀도 예배도 점점 멀게만 느껴졌죠. 그럴수록 더 힘든 건 “이러다 내 믿음이 식는 거 아닐까?” 라는 두려움입니다. 주변은 다 괜찮아 보이는데, 나만 이렇게 영적으로 무너지는 것 같은 느낌... 사실, 신앙의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이런 계절을 지나게 되는데요. 중요한 건, 이 침체가 절망이 아니라 **회복을 위한 하나님의 특별한 부르심**이라는 사실이에요. 🕊️ 문제: 내 영혼이 말라가고 있는 것 같아요 기도를 드리려 앉았는데, 말 한 마디조차 나오지 않을 때가 있어요 . 성경을 펼쳤지만, 단어들이 눈에만 맴돌 뿐 마음에 박히지 않죠. 찬양의 가사도 더 이상 감동이 되지 않고, 주일 예배가 그저 ‘의무’처럼 느껴지는 날도 있습니다. 이런 상태를 ‘영적 무감각’ 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는데요. 이때 우리는 스스로를 정죄하기 시작해요. “나는 왜 이렇게 믿음이 없지?”, “하나님이 날 멀리하신 걸까?” 그러나 기억하세요. 하나님은 절대 우리를 떠나지 않으세요 . 오히려 당신이 그렇게 느끼는 그 시간에도, **하나님은 가장 가까이에서 당신을 기다리고 계신답니다.** 💡 해결: 침체에서 회복으로, 이렇게 시작해보세요 영적 침체는 정지 상태가 아닙니다. 회복으로 가는 통로예요. 아래 몇 가지 방법은 많은 신앙인들이 실제로 영혼의 회복을 경험한 실천 방법인데요. 한 번 실천해 보시겠어요? 1. 작은 말씀 루틴으로 다시 시작해요: 하루에 한 구절이라도 눈으로 보고...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