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repentance인 게시물 표시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22장 #발람사건 #신약묵상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 22장은 발람과 발락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처음 발람에게 “가지 말라” 고 명확히 말씀하셨지요. 하지만 발람은 여전히 보상과 명예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다시 하나님의 뜻을 묻습니다. 결국 하나님은 “가라” 고 허락하셨지만, 이는 곧 탐욕을 드러내는 시험 이었어요. 1.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야고보서 4:3은 이렇게 말합니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기 때문이라.” 발람의 기도는 순종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이미 답을 받은 상태에서 “혹시 다른 길은 없을까?” 를 묻는 욕심 어린 기도였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하나님의 “아니”라는 답을 받아들일 줄 모르고, 다시 물을 때가 많지요. 2. 하나님의 조건부 허락과 주권 하나님은 발람에게 “가라, 그러나 내가 시키는 말만 하라”라고 하셨습니다(민 22:35). 이는 곧 인간이 탐욕으로 움직여도, 하나님의 주권과 뜻은 결코 꺾이지 않는다 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8:28의 말씀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조차 사용하여 결국 선을 이루시는 분 이십니다. 3. 경고의 사건과 하나님의 은혜 발람의 나귀가 천사를 본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발람이 욕심의 길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경고의 신호 를 보내신 것이지요.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말씀, 양심, 그리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우리에게 “멈춰라, 다시 생각해라”라는 사인을 주십니다. ✝️ 교훈 하나님은 우...

회개에 대한 깊은 성찰

  회개에 대한 깊은 성찰을 나누고자 합니다. 잘못된 길을 가고 있음을 깨닫고, 그 길에서 돌아서 주님께 나아가는 것이 바로 회개입니다.  세려요한 등장 오늘은 광야에서 회개를 외치는 인물이 있습니다. 그는 바로 세례 요한입니다. 오늘 새벽 예배의 본문은 누가복음 3장 1절에서 14절까지의 말씀입니다.  당시 세상 권력을 쥐고 있었던 로마 황제와 이스라엘을 지배하던 빌라도 총독, 그리고 이스라엘을 다스리던 사악한 본봉 3왕들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불법을 조작하여 자신의 이익을 챙기는 안나스와 가야바 대제사장들까지, 그 시대의 권력층을 언급하며 세례 요한이 한 줄기 빛처럼 소개됩니다.  회개의 세례를 전파하는 자  그는 죄 사함을 위한 <회개의 세례>를 전파하는 자이며, 주의 길을 준비하고 주님이 오실 길을 곧게 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예수님보다 6개월 먼저 태어난 그는 이제 예수님의 사역을 앞두고 길을 여는 인물입니다.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 (마태복음 3:2)라는 외침으로 먼저 회개를 외치고, 요단강에서 세례를 베풀고 있습니다. 세례를 받기 위해 나오는 사람들 중에는 유대인, 세리, 군인들이 많았는데, 그는 그들에게 강하게 경고합니다.  "독사의 자식들아! 장차 올 진노를 피할 수 있겠느냐?"라고 말하며, 부드럽게 접근하기 어려운 이들에게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도끼가 나무 뿌리에 놓였다. 좋은 열매를 맺지 않는 나무는 모두 불에 던져질 것이다." (9절)라는 말씀에서 나무는 사람을 비유한 것입니다.  회개의 합당한 열매 여기서 그는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회개를 두 번 했다고 해서 그 죄를 계속 짓는다면, 그것은 진정한 회개가 아닙니다.  진정한 회개란 그 죄에서 돌아서 다시는 그 길을 가지 않는 것입니다. 그는 또한 마음을 울리는 말씀을 전합니다. "속으로 나는 아브라함의 자손이다"라고 생각...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