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our conversation with God comes alive인 게시물 표시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22장 #발람사건 #신약묵상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 22장은 발람과 발락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처음 발람에게 “가지 말라” 고 명확히 말씀하셨지요. 하지만 발람은 여전히 보상과 명예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다시 하나님의 뜻을 묻습니다. 결국 하나님은 “가라” 고 허락하셨지만, 이는 곧 탐욕을 드러내는 시험 이었어요. 1.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야고보서 4:3은 이렇게 말합니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기 때문이라.” 발람의 기도는 순종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이미 답을 받은 상태에서 “혹시 다른 길은 없을까?” 를 묻는 욕심 어린 기도였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하나님의 “아니”라는 답을 받아들일 줄 모르고, 다시 물을 때가 많지요. 2. 하나님의 조건부 허락과 주권 하나님은 발람에게 “가라, 그러나 내가 시키는 말만 하라”라고 하셨습니다(민 22:35). 이는 곧 인간이 탐욕으로 움직여도, 하나님의 주권과 뜻은 결코 꺾이지 않는다 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8:28의 말씀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조차 사용하여 결국 선을 이루시는 분 이십니다. 3. 경고의 사건과 하나님의 은혜 발람의 나귀가 천사를 본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발람이 욕심의 길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경고의 신호 를 보내신 것이지요.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말씀, 양심, 그리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우리에게 “멈춰라, 다시 생각해라”라는 사인을 주십니다. ✝️ 교훈 하나님은 우...

가족과의 대화가 회복되면, 하나님과의 대화도 살아납니다

  💬 가족과의 대화가 회복되면, 하나님과의 대화도 살아납니다 얼마 전, 함께한 작은 모임에서 누군가 “가족 간의 대화를 통해 사랑을 나누는 법” 에 대해 이야기해주셨어요. 격식 없고 따뜻한 이야기였는데, 듣는 내내 마음에 울림이 있더라고요. 잊고 살았던 무언가가 다시 살아나는 느낌이랄까요? 생각해보면 저도 “바빠서…” 라는 말을 핑계 삼아, 가족과 깊이 대화할 시간을 많이 놓쳐왔던 것 같아요. 하루하루가 정신없이 흘러가고, 서로 같은 공간에 있어도 마음을 나누는 대화는 점점 줄어들었거든요. ✨ 단순한 진리, “안 했다면 지금부터 하면 된다”는 말 그분은 웃으며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지금까지 대화가 부족했으면, 그냥 오늘부터 시작하면 되잖아요~” 다들 웃었지만, 그 말이 제 가슴에는 묵직하게 다가왔습니다. 너무 당연한 말인데도, 우리는 때로 ‘언제부터 다시 시작해야 할까?’ 하고 망설이곤 하잖아요? 사실 관계의 회복은 복잡하지 않아요. 지금, 여기서, 한마디를 건네는 것 부터가 시작이랍니다. "오늘 어땠어?" 이 짧은 질문 하나가 굳어 있던 마음을 풀어주기도 하거든요. 👂 대화는 잘 말하는 게 아니라, 진심으로 들어주는 거예요 가족 간의 대화, 어렵게 느껴질 때가 있죠. 마치 회의하듯 딱딱하게 해야 할 것 같은데요. 사실 중요한 건 말의 기술이 아니라 마음을 담아 들어주는 태도 입니다. 상대방의 이야기를 끝까지 귀 기울여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그 사람은 “아, 내가 존중받고 있구나” 하고 느끼게 돼요. 그 순간부터 오해는 녹아내리고, 마음의 문이 열리기 시작하는 거죠. 🙏 하나님 아버지와의 대화도 똑같아요 그날 모임에서 한 분이 이렇게 말하셨어요. “우리에게는, 우리가 무슨 말을 하든 끝까지 들어주시는 아버지가 계시잖아요.” 그분은 바로 하나님 아버지 입니다. 우리가 두려움에 휩싸였을 때도, 어설픈 말로 감정을 표현할 때도, 하나님은 끝까지 들어주시고 절대로 외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