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When days pass by so quickly인 게시물 표시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광야의 처음을 기억하며 남은 날을 걷는 법 은혜 회복 실천 묵상 인생의 끝에서 묻습니다, 광야의 처음 은 무엇을 남겼나요? 끝자락에 서 보니, 시작은 의외로 광야 였어요. 길이 막막했는데요, 그 황량한 자리에서 하나님 한 분 을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 뿌린 눈물과 기도가 오늘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더라고요. 1. 왜 다시 ‘처음’을 돌아보나요? 우리는 성공과 실패를 크게 기억하지만, 삶을 바꾼 순간은 대개 길이 안 보이던 때 였습니다. 한밤의 작은 위로, 뜻밖의 손길, 새벽의 한 줄 말씀… 우연이 아니었죠.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삼상 7:12) 에벤에셀의 고백이 지금도 유효합니다. 끝의 지혜는 화려한 피날레가 아니라 초심으로의 귀환 에서 태어나요. 광야 수업의 핵심은 의존 이었습니다. 내 힘보다 크신 분께 기대는 연습이었죠. 2. 남은 인생, 무엇을 붙들며 살까요? ① 감사 — 불평보다 먼저 드리는 고백이에요 만나가 익숙해지면 금세 불평이 나왔죠. 이젠 작아 보이는 공급에도 “충분합니다” 를 말해 보자고요. 감사는 마음의 각도를 살짝 틀어 줍니다. 아침: “오늘도 숨 쉬게 하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시작해요. 한 끼 앞에서: 함께 먹는 은혜를 짧게 감사해요. 잠들기 전: 하루의 작은 기적 1가지를 기록합니다. ② 순종 — 완벽한 계획보다 오늘 한 걸음입니다 구름기둥이 멈추면 멈추고, 움직이면 따라갔습니다. 순종은 복잡한 전략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선한 선택 이죠. 완벽하지 않아도, 오늘 할 수 있는 착한 일 하나에 발을 내딛어요. ③ 사명 — 나이와 상관없이 갱신됩니다 끝자락이라고 사명이 끝난 건 아니에요. 경험·눈물·축적된 기도 는 다음 세대를 살리는 자산입니다. 나눔과 위로, 중보로 흘려보내면 사명은 더 깊어질 거예요....

하루하루가 빠르게 지나갈 때, 예수님을 기억하며 사는 삶

이미지
  🙏 하루하루가 빠르게 지나갈 때, 예수님을 기억하며 사는 삶 아침이 밝았습니다. 눈을 뜨자마자 서둘러 출근 준비를 하고, 커피 한 잔으로 정신을 깨우고 나면 어느덧 점심시간이 다가옵니다. 점심을 먹고 몇 번 오가다 보면, 밖은 이미 어둑어둑해지고 퇴근 시간이 가까워지죠. "하루가 어떻게 이렇게 빠를까?" 문득 그런 생각이 듭니다. 하기야, 66km 속도로 달리는 삶 이라면 그럴 만도 하죠. 바쁜 일상 속에서 정신없이 하루를 보내다 보면, 내가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지도 모를 때가 있습니다. 📖 마가복음 1장에서 만나는 예수님의 하루 그러다 문득 마가복음 1장 에서 예수님의 하루를 떠올려 보게 됩니다. 이 땅에 계셨던 예수님께서도 하루를 얼마나 바쁘고도 성실하게 사셨는지 말입니다. 오전: 회당에서 말씀을 가르치시고 귀신 들린 자를 고쳐주시고, 오후: 베드로의 장모를 심방하여 열병을 고쳐주시고, 저녁: 문 앞에 모인 수많은 병든 자들을 위로하고 치유하셨습니다. 그리고 이른 새벽, 모두가 잠들어 있는 그 시간에 예수님은 한적한 곳에서 홀로 기도 하셨습니다. 인간의 육신을 입고 오신 예수님이 얼마나 피곤하셨을까요? 하지만 그분은 쉼 없이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성실하게, 묵묵히 하루를 살아내셨습니다. ⏳ 나는 지금 무엇을 위해 바쁘게 살고 있을까요? 그에 반해 나는... 솔직히 말해 하나님 나라보다 나 자신과 가족을 위해 분주하게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난주 예배 말씀 중 한 구절이 마음에 계속 남아 있습니다. “감사로 제사를 드리는 자가 나를 영화롭게 하나니” — 시편 50:23 — 하나님을 영화롭게 한다는 것, 그것이 바로 소요리 문답의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답 이기도 하죠. “ 사람의 제일 되는 목적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영원토록 그를 즐거워하는 것이다. ” 그런데 시편은 말씀합니다. “감...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