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with Profound Grace인 게시물 표시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22장 #발람사건 #신약묵상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 22장은 발람과 발락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처음 발람에게 “가지 말라” 고 명확히 말씀하셨지요. 하지만 발람은 여전히 보상과 명예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다시 하나님의 뜻을 묻습니다. 결국 하나님은 “가라” 고 허락하셨지만, 이는 곧 탐욕을 드러내는 시험 이었어요. 1.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야고보서 4:3은 이렇게 말합니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기 때문이라.” 발람의 기도는 순종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이미 답을 받은 상태에서 “혹시 다른 길은 없을까?” 를 묻는 욕심 어린 기도였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하나님의 “아니”라는 답을 받아들일 줄 모르고, 다시 물을 때가 많지요. 2. 하나님의 조건부 허락과 주권 하나님은 발람에게 “가라, 그러나 내가 시키는 말만 하라”라고 하셨습니다(민 22:35). 이는 곧 인간이 탐욕으로 움직여도, 하나님의 주권과 뜻은 결코 꺾이지 않는다 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8:28의 말씀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조차 사용하여 결국 선을 이루시는 분 이십니다. 3. 경고의 사건과 하나님의 은혜 발람의 나귀가 천사를 본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발람이 욕심의 길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경고의 신호 를 보내신 것이지요.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말씀, 양심, 그리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우리에게 “멈춰라, 다시 생각해라”라는 사인을 주십니다. ✝️ 교훈 하나님은 우...

기다려주는 마음, 그 깊은 품격

이미지
  기다려주는 마음, 그 깊은 품격 "진심으로 누군가를 위한다면, 그 사람이 회복될 시간을 주는 것도 사랑입니다." 우리는 살면서 누군가에게 배려를 받기도 하고, 또 배려하려 애쓰기도 해요. 그런데 진짜 배려는, 속도가 아니라 마음을 읽는 기다림 에서 나오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다윗의 따뜻한 조문, 그러나 돌아온 것은 모욕 이스라엘 왕 다윗은 예전에 자신에게 선의 를 베풀었던 암몬 사람들의 왕 나하스 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어요. 그는 그 은혜를 마음에 품고, 고인을 애도하며 조문 사절단 을 보내기로 했습니다. 단순한 정치적 제스처가 아니라, 진심 어린 인간적인 표현이었죠. 하지만 안타깝게도 하눈 왕과 그의 신하들은 이 방문의 진의를 의심했는데요. “이스라엘 왕이 사람을 보낸 건 애도하려는 게 아니라, 정탐하려는 계략일지도 몰라!”라며 불신과 오해 속에 다윗의 사람들을 모욕하고 말았습니다. ■ 상상 이상의 모욕, 수염을 자르고 옷을 찢다 결국 그들은 다윗의 신하들의 수염을 절반이나 깎아버리고요 , 의복을 엉덩이까지 잘라내어 공개적인 수치심을 안긴 채 돌려보냈어요. 당시 수염은 남자의 명예 를 상징했고, 옷을 그렇게 자른다는 건 인격을 짓밟는 행위나 마찬가지였죠. 돌아오는 그들의 마음은 어땠을까요? 그 모욕은 단순한 창피함을 넘어,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흔드는 아픔이었을 거예요. ■ 다윗의 반응은 의외였습니다 보통이라면 분노가 먼저 앞섰겠죠. 당장 복수하거나 군사 행동을 취할 수도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다윗은 감정보다 사람의 마음을 먼저 살폈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죠. "수염이 다시 자랄 때까지 여리고에 머물렀다가 돌아오게 하라." 그 말에는 단호함도 있었지만, 동시에 상처 입은 자존심을 품어주는 따뜻한 배려 가 담겨 있었어요. 사람들은 복수를 기대했지만, 다윗은 기다림을 선택했습니다. 누군가가 모욕을 당했을 때,...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