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순잔치에 울려 퍼진 기도 – 인생의 향기, 믿음으로 피어나다

🎉 칠순잔치에 울려 퍼진 기도 – 인생의 향기, 믿음으로 피어나다 칠순이라는 숫자는 단순한 생일이 아니에요. 일곱 개의 십 년을 걸어온 그 세월은 눈물과 기도로 엮어진 생애의 연가 라 말할 수 있어요. 오늘 저희 어머님의 칠순잔치는 그저 잔치가 아니었고, 하나님께 드리는 작은 감사예배 같은 시간이었답니다. 자녀 된 저희는 마음 깊이 고백하게 되었어요. " 그 모든 시간을 인도하신 분은 누구실까? " 고된 노동과 남편을 먼저 떠나보낸 슬픔, 다섯 자녀를 혼자의 힘으로 길러낸 삶의 기록. 그 속엔 언제나 하나님의 신실하신 손길 이 함께 있었던 거예요. 그래서 잔치를 준비하며 가장 먼저 떠오른 것은 ‘감사의 기도문’ 이었어요. 단지 형식적인 순서가 아니라, 어머님의 삶이 담긴 믿음의 고백 으로 하나님께 올려드리는 진심 어린 예배가 되길 원했거든요. 🕊️ 기도하는 순간, 잔치는 은혜의 장이 되었어요 막내딸이 조심스럽게 기도문을 낭독했어요. “ 하나님 아버지, 어머님의 걸어오신 인생길에 늘 함께하심을 감사드립니다 ...” 그렇게 시작된 기도는 단순한 축하의 말이 아니었고, 그 순간부터 잔치장은 조용한 감동으로 가득 찼답니다 . 희생과 사랑으로 삶을 일궈오신 어머니 의 여정이 한 줄 한 줄 기도에 담겨 있었어요. 그 기도문을 듣는 모두의 눈가엔 눈물이 맺혔고요. 우리는 그 순간, ‘믿음의 유산’이란 말이 그냥 하는 말이 아니라는 걸 실감했어요 . 🌿 삶이 곧 예배가 되는 어머니의 모습 “ 주님, 남은 여정도 주의 은혜로 날마다 채워주소서. ” 기도가 마무리되자, 마치 하늘에서 복이 내리는 듯한 평안이 그 자리를 감싸더라고요. 누군가 이런 말을 했어요. “이건 단순한 생일이 아니라, 천국을 맛보는 예배였어요.” 그렇게 우리 가족은 다짐했답니다. 우리도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을 살아가자고요 . 그리고 그 믿음의 씨앗을 자녀들에게도 물려주자고 결심했어요 . ...

예수 사랑과 동행의 삶

 

예수 사랑과 동행의 삶

예수님을 사랑하고 동행하는 것은 신앙의 핵심이며,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삶의 중심입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고백은 “예수님, 사랑합니다”라는 말입니다. 그것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일을 행하는 것입니다.

에베소 교회의 책망과 회복

성경에서 예수님은 에베소 교회를 향해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네 행위와 수고와 인내를 안다" (계 2:2)
즉, 그들의 신앙적 헌신과 노력을 인정하셨지만, 한 가지 중요한 점을 책망하셨습니다.
"처음 사랑을 버렸노라." (계 2:4)

처음 사랑이란, 예수님을 향한 뜨거운 마음과 순수한 헌신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신앙 활동과 봉사에 집중하다 보니 정작 예수님을 사랑하는 본질을 잃어버렸습니다. 이에 예수님은 “회개하고 처음 사랑을 회복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이는 단순한 감정의 회복이 아니라, 예수님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돌아가라는 강력한 요청입니다.

라오디게아 교회의 미지근한 신앙

라오디게아 교회는 또 다른 책망을 받았습니다.
"네가 차지도 않고 뜨겁지도 아니하도다." (계 3:15)

즉, 미지근한 신앙은 예수님께서 가장 싫어하시는 모습입니다. 예수님을 향한 사랑이 차갑거나 무관심해지면, 결국 신앙이 흔들리고 무의미한 종교적 행위만 남게 됩니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열심을 내라”라고 말씀하십니다. 다시 말해, 예수님을 뜨겁게 사랑하는 것이 신앙의 본질입니다.

예수님을 더욱 사랑하는 방법

그렇다면 어떻게 예수님을 더욱 사랑할 수 있을까요?

  1. 예수님을 많이 생각하라

    • 온 세상을 바라볼 때 예수님과 연관 짓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 특별한 방법이 있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노력하면 됩니다.
  2. 예수님의 음성을 듣고 순종하라

    • 예수님은 우리에게 “열심을 내라”라고 말씀하십니다.
    • 예수님을 사랑하는 것은 감정이 아니라, 적극적인 행동입니다.

변치 않는 사랑

스바냐 3장에서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잠잠히 사랑하신다고 말씀하십니다.
"그가 너로 인하여 기쁨을 이기지 못하시며, 너를 잠잠히 사랑하시며" (습 3:17)

이 말씀은 예수님께서 변함없이, 끝까지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뜻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도 그 사랑에 응답해야 합니다. 변덕스럽거나 조건적인 사랑이 아니라, 변함없이 끝까지 예수님을 사랑하는 것이 참된 신앙입니다.

결론

예수님을 사랑하는 것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삶의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에베소 교회처럼 처음 사랑을 잃어버리면 안 되며, 라오디게아 교회처럼 미지근한 신앙에 머물러서도 안 됩니다. 예수님을 더욱 사랑하기 위해, 그분을 늘 생각하고, 음성을 듣고 순종하며, 변함없는 사랑을 실천해야 합니다. 이것이 참된 신앙이며,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삶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