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22장 #발람사건 #신약묵상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 22장은 발람과 발락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처음 발람에게 “가지 말라” 고 명확히 말씀하셨지요. 하지만 발람은 여전히 보상과 명예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다시 하나님의 뜻을 묻습니다. 결국 하나님은 “가라” 고 허락하셨지만, 이는 곧 탐욕을 드러내는 시험 이었어요. 1.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야고보서 4:3은 이렇게 말합니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기 때문이라.” 발람의 기도는 순종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이미 답을 받은 상태에서 “혹시 다른 길은 없을까?” 를 묻는 욕심 어린 기도였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하나님의 “아니”라는 답을 받아들일 줄 모르고, 다시 물을 때가 많지요. 2. 하나님의 조건부 허락과 주권 하나님은 발람에게 “가라, 그러나 내가 시키는 말만 하라”라고 하셨습니다(민 22:35). 이는 곧 인간이 탐욕으로 움직여도, 하나님의 주권과 뜻은 결코 꺾이지 않는다 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8:28의 말씀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조차 사용하여 결국 선을 이루시는 분 이십니다. 3. 경고의 사건과 하나님의 은혜 발람의 나귀가 천사를 본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발람이 욕심의 길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경고의 신호 를 보내신 것이지요.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말씀, 양심, 그리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우리에게 “멈춰라, 다시 생각해라”라는 사인을 주십니다. ✝️ 교훈 하나님은 우...

악인의 형통함을 보고 시험 들 뻔하다

 

악인의 형통함을 보고 시험 들 뻔하다

많은 성도들이 신앙생활을 하다가 낙심하는 이유 중 하나는 하나님을 믿지 않는 사람들의 형통함을 보면서 의문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매주 예배 빠지지 않고 드렸는데도 왜 이렇게 안 풀릴까요?”
“교회 안 다니는 사람들이 더 건강하고, 돈도 더 잘 벌고, 자녀들도 더 잘되는 것 같아요.”

이런 생각을 하며 신앙에서 멀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편 기자의 고민

이런 고민은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시편 73편에서도 시편 기자는 같은 의문을 품었습니다.

“나는 하나님을 신실하게 섬기는데, 악인들은 오히려 더 잘 사는 것 같다.”

그는 하나님을 믿지 않는 자들의 형통함을 보고 “넘어질 뻔했다”, 즉 시험 들 뻔했다고 고백합니다.

그들은 사람들이 흔히 겪는 고난도 겪지 않고, 몸도 건강하며, 재물도 풍족합니다.
마치 신자보다 더 강하고 더 잘 나가는 것처럼 보입니다.

신앙의 딜레마

성도들은 주일 예배뿐 아니라 십일조와 각종 헌금을 드리며, 수요예배, 금요철야예배, 새벽예배까지 참석합니다.
더 나아가 금식하며 기도하고, 말씀을 묵상하는데도 원하는 응답이 오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이렇게 하는데도 하나님은 왜 아무 반응이 없으실까?” 라는 생각이 들면서 신앙에 회의가 찾아옵니다.

성소에 들어갈 때 깨달음

그러나 시편 기자는 성소에 들어갈 때 비로소 깨달음을 얻었다고 말합니다.
즉, 하나님 앞에 나아가고 하나님을 만날 때 진실이 보인다는 것입니다.

세상의 형통함이 영원한 것이 아니며, 하나님을 떠난 자들의 결국은 심판과 멸망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믿음의 길

믿음은 하나님이 내 삶에 즉각적인 응답을 주시기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이 누구신지를 알고 그분을 신뢰하는 것입니다.

악인의 형통을 부러워하지 않는 것이 참된 신앙이며,
나를 성전 삼고 계신 예수님을 찾고 또 찾는 것이 믿음의 본질입니다.

결국 하나님을 바라보는 자에게 주어질 상은 이 세상의 부귀보다 크고, 영원한 가치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눈앞의 형통함에 흔들리지 않고, 하나님을 신뢰하며 나아가야 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