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22장 #발람사건 #신약묵상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 22장은 발람과 발락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처음 발람에게 “가지 말라” 고 명확히 말씀하셨지요. 하지만 발람은 여전히 보상과 명예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다시 하나님의 뜻을 묻습니다. 결국 하나님은 “가라” 고 허락하셨지만, 이는 곧 탐욕을 드러내는 시험 이었어요. 1.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야고보서 4:3은 이렇게 말합니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기 때문이라.” 발람의 기도는 순종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이미 답을 받은 상태에서 “혹시 다른 길은 없을까?” 를 묻는 욕심 어린 기도였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하나님의 “아니”라는 답을 받아들일 줄 모르고, 다시 물을 때가 많지요. 2. 하나님의 조건부 허락과 주권 하나님은 발람에게 “가라, 그러나 내가 시키는 말만 하라”라고 하셨습니다(민 22:35). 이는 곧 인간이 탐욕으로 움직여도, 하나님의 주권과 뜻은 결코 꺾이지 않는다 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8:28의 말씀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조차 사용하여 결국 선을 이루시는 분 이십니다. 3. 경고의 사건과 하나님의 은혜 발람의 나귀가 천사를 본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발람이 욕심의 길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경고의 신호 를 보내신 것이지요.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말씀, 양심, 그리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우리에게 “멈춰라, 다시 생각해라”라는 사인을 주십니다. ✝️ 교훈 하나님은 우...
회개에 대한 깊은 성찰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회개에 대한 깊은 성찰을 나누고자 합니다. 잘못된 길을 가고 있음을 깨닫고, 그 길에서 돌아서 주님께 나아가는 것이 바로 회개입니다.
세려요한 등장
오늘은 광야에서 회개를 외치는 인물이 있습니다. 그는 바로 세례 요한입니다.
오늘 새벽 예배의 본문은 누가복음 3장 1절에서 14절까지의 말씀입니다.
당시 세상 권력을 쥐고 있었던 로마 황제와 이스라엘을 지배하던 빌라도 총독, 그리고 이스라엘을 다스리던 사악한 본봉 3왕들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불법을 조작하여 자신의 이익을 챙기는 안나스와 가야바 대제사장들까지, 그 시대의 권력층을 언급하며 세례 요한이 한 줄기 빛처럼 소개됩니다.
회개의 세례를 전파하는 자
그는 죄 사함을 위한 <회개의 세례>를 전파하는 자이며, 주의 길을 준비하고 주님이 오실 길을 곧게 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예수님보다 6개월 먼저 태어난 그는 이제 예수님의 사역을 앞두고 길을 여는 인물입니다.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 (마태복음 3:2)라는 외침으로 먼저 회개를 외치고, 요단강에서 세례를 베풀고 있습니다. 세례를 받기 위해 나오는 사람들 중에는 유대인, 세리, 군인들이 많았는데, 그는 그들에게 강하게 경고합니다.
"독사의 자식들아! 장차 올 진노를 피할 수 있겠느냐?"라고 말하며, 부드럽게 접근하기 어려운 이들에게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도끼가 나무 뿌리에 놓였다. 좋은 열매를 맺지 않는 나무는 모두 불에 던져질 것이다." (9절)라는 말씀에서 나무는 사람을 비유한 것입니다.
회개의 합당한 열매
여기서 그는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회개를 두 번 했다고 해서 그 죄를 계속 짓는다면, 그것은 진정한 회개가 아닙니다.
진정한 회개란 그 죄에서 돌아서 다시는 그 길을 가지 않는 것입니다.
그는 또한 마음을 울리는 말씀을 전합니다. "속으로 나는 아브라함의 자손이다"라고 생각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이 돌들로도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게 하실 수 있다는 것입니다 (8절). 다시 말해, 천국 가는 티켓을 이미 따 놓았다고 자부하며 자기 마음대로 살아가는 사람은 회개의 합당한 열매가 없는 자입니다.
제가 회개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스스로에게 질문해 보아야 합니다. "나는 그리스도인가? 단순한 크리스천이 아니라 진정한(real) 크리스천인가?"라고 말이죠. 과연 몇 번이나 "예"라고 대답할 수 있을까요?
회개하겠습니다. 회개의 영을 부어 주시어,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게 하소서. 아멘.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된다는 생각은 늘 하는것 같은데 바쁘다는 핑게로 깊이 생각해 보지 아니한것은 사실 입니다. 이 땅에서 살아가노라면 영원한 생명에 생각하곤 합니다. 그런데 이 땅에서 영원한것이 있을까요? 그런데 우리는 이 땅에서 영원히 살것처럼 계획을 세우고 노후 설계도 합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영원히 살것처럼 몸부림치면서 살고 꿈을 꾸었지만 결국은 다 지나가고 없어 집니다. 중국에 진시왕도 오래 살고 싶어 불로초를 구하여 우리나라까지 사람을 보내곤것 잘 알고 있습니다. 오직 하나님과 말씀만이 영원하다 본문 렘51:59~64 입니다. 이 땅에서 영원히 잘 나갈것 같은 바벨론이 사람이나 짐승이 거기에 살지 못하게 하고 영원히 폐허가 되리라(62절) 바벨론이 이같이 몰락하여 다시 일어서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그 때 바벨론이 멸망되어 나라까지 이 땅에서 사라져 버렸습니다. 오늘 본문 말씀은 예레미야 52장을 두고 사실 끝나는 말씀 이기도 합니다. 그러면서 결국은 말씀만이 영원하다는것을 깨닫게 합니다. 예레미야는 스라야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참고로 스라야는 바룩의 동료로서 말씀을 기록하는자 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예레미야,바룩,스라야는 하늘나라 동역자 입니다. '바벨론에 닥칠 모든 재난 곧 바벨론에 대하여 기록한 이 모든 말씀을 한 책에 기록하고 , 너는 바벨론에 이르거든 삼가 이 모든 말씀을 읽고 이 읽기를 다 한 후에 책에 돌을 메어 유브라데강 속에 던져 넣어라 이것은 바벨론이 몰락하여 다시는 일어서지 못하고 피폐 하리라' 하고 예레미야 말이 여기서 끝이 납니다. 예레미야 선지자의 말을 받은 스라야는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간 유다백성들에게 이 말...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예배는 단순한 종교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께 경배와 찬양을 드리는 영적 행위입니다. 성경에서는 예배를 하나님께만 드려야 하는 거룩한 행위 로 강조합니다. 그렇다면 성경적 예배란 무엇이며, 어떻게 드려야 할까요? 본 글에서는 예배의 의미, 올바른 예배 방법, 예수님이 원하시는 예배, 그리고 삶에서의 예배 실천 방법을 성경 말씀을 기반으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예배의 의미: 성경적 정의 예배는 하나님을 향한 사랑과 경외심을 표현하는 행위입니다. 성경에서는 예배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히브리어와 영어에서 본 예배의 뜻 아바드(עָבַד) : ‘예배하다’, ‘섬기다’, ‘엎드리다’라는 뜻을 가짐. Worship(워십) : ‘가치(Worth) 있는 존재에게 경배(Ship)를 드리는 행위’. 즉, 기독교 예배는 창조주이자 구속주 되신 하나님께 합당한 영광과 찬양을 돌리는 것 을 의미합니다. 2. 예배의 대상: 오직 하나님께만 드리는 경배 예배는 사모하는 마음과 간절한 믿음 으로 하나님께 드려야 합니다. 예배를 드리는 올바른 자세 겸손한 마음 (마태복음 5:3) : 심령이 가난한 자가 하나님 나라를 소유함. 믿음으로 하나님을 만남 (히브리서 11:6) :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반드시 그분이 살아 계심을 믿어야 함. 오직 하나님을 예배의 중심 으로 삼고, 세상의 가치가 아닌 하나님의 뜻에 따라 예배해야 합니다. 3. 예수님께서 원하시는 예배란? 예수님은 우리에게 “신령과 진리로 예배하라” (요한복음 4:23~24)고 말씀하셨습니다. 신령(神靈, Spirit): 하나님의 영(성령) 안에서 드리는 예배 진리(眞理, Truth): 예수 그리스도와 말씀에 기초한 예배 또한 사도 바울은 **“몸을 산 제물로 드리는 것이 영적 예배”**라고 했습니다(로마서 12:1). 즉, 예배는 단순한 형식이 아니라 삶 전체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4. 예수님을 통한 예배의 ...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
기회를 잡으라 기회는 언제나 있지 않습니다 이 땅에서 살아 있을동안이 기회라는것을 누구나 다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눈 앞에 보이는것을 해결 할려다 보니 세월은 훌쩍 지나가 있음을 봅니다. 열왕기2장에 보면 다윗왕이 이제 나이가 많아 죽을 날이 임박함으로 사랑하는 아들 솔로몬에게 유언하는 말씀입니다. 이스라엘에 가장 위대한 왕 이고 하나님과 마음이 합한자로서 모든면에서 뛰어났지만 세상 모든 사람이 가는길 죽음은 피할수는 없나 봅니다. 엊그제 교회에 장례식에 갔다 왔는데 아직도 젊은 나이 아직도 집사님으로 한창 일할 때 인데 하나님께서 불려서 갔습니다. 엄마 뱃속에 나올때는 순서 있게 왔지만 갈때는 순서가 없어 하나님께서 부르시면 오늘밤이라도 가야만 하는 연약한 인생임을 깨닫고 왔습니다. 다윗왕의 임종을 하는것을 보고야 장례식에 참여 하고서야 사람은 죽는구나 라는 현실을 보고서야 깨닫습니다. 이 땅에 살아 있을때가 기회 라고 말입니다 죽음 이후에 세계가 눈에 보이지가 않기에 이세상에 보이는것에만 급급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나의 현실을 보면서 말입니다. 그 현실 속에서 이렇게 살아 가고 있을때가 기회 이라는것 또 한번 밀려 옵니다 회개할 기회 말씀대로 순종하며 하나님 뜻대로 살아가는 기회 말 입니다. 이 땅에서 숨을 쉬고 있을때가 말 입니다. 죽음 이후에 예수님과 함께 살 영원한곳을 준비 하는것 이요 진정 회개하고 복음인 예수 그리스도를 잘 믿는 기회요. 이러한 차원에서 오늘 다윗이 유언하는것이 솔로몬에게 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모두에게 주시는 말씀이요 저에는 주시는 말씀으로 들립니다. 힘써 대장부가 되라 너는 힘써 대장부가 되라 믿음의 대장부 믿음으로 강한자가 되라는 말씀 이네요 그리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말씀을 지켜 행하라는 것입니다. 결국은 순종 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