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량이란? 예수님의 피값으로 치러진 구원의 의미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속량(贖良)이란? 예수님의 피값으로 치러진 구원의 의미
속량의 의미와 성경적 배경
성경에서 자주 등장하는 ‘속량(贖良)’은 단순한 종교적 개념이 아닙니다. 원래 이 단어는 로마 시대 노예시장에서 사용되던 상업적 용어로, ‘값을 치르고 자유를 주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특히 사도 바울 시대, 노예제도는 매우 일반적이었습니다. 전쟁에서 패배한 나라의 국민들은 노예로 팔려갔고, 극심한 가난으로 인해 가족 중 일부를 노예로 파는 일도 많았습니다. 노예들은 가축처럼 취급되었으며, 요일별로 성별과 연령에 따라 거래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 월요일: 남자 노예
- 화요일: 여자 노예
- 수요일: 어린이 노예
도망자 노예와 그들의 운명
노예들 중에는 자유를 찾아 도망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도망이 성공하는 경우는 드물었고, 대부분 다시 붙잡혔습니다. 붙잡힌 노예들은 이마나 등에 불로 ‘도망자’라는 낙인을 찍혔습니다. 이렇게 낙인찍힌 노예들은 가치가 떨어졌고, 헐값에 거래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노예의 가격은 약 10만 원이었지만, 도망자 노예는 1~2만 원에 불과했습니다. 그마저도 잘 팔리지 않았습니다. 주인들은 또다시 도망칠까 봐 구매를 꺼렸고, 결국 도망자 노예들은 작은 방에 20~30명씩 갇혀 하루 한 끼만 먹으며 하루빨리 팔리기만을 기다렸습니다.
예수님의 속량 – 도망자 노예를 위한 대속
어느 날, 이런 도망자 노예 중 한 명 앞에 한 사람이 나타났습니다. 그 노예의 가격은 단 15,000원. 그러나 그는 주저 없이 그 노예를 가리켰습니다.
노예 주인은 말했습니다.
“이 노예는 도망자입니다. 쓸모없는 쓰레기입니다. 더 나은 노예를 보여드리겠습니다.”
그러나 그 사람은 요동하지 않고 오직 그 도망자 노예만을 바라보았습니다. 노예 주인이 매긴 가격이 아니라, 사람들이 평가하는 가치가 아니라, 그는 자신의 생명의 피값을 치르면서까지 이 노예를 사겠다고 결정했습니다.
사람들의 조롱과 예수님의 결단
이 모습을 본 사람들은 조롱했습니다.
“똑똑한 사람인 줄 알았는데, 저런 도망자 노예에게 자기 생명을 값으로 지불하다니. 바보 같은 짓이다.”
그러나 그는 단 한 번도 사단(노예 주인)과 흥정하지 않았습니다. 오직 자신의 생명을 바쳐 피값으로 이 도망자 노예를 샀습니다.
속량이란? 예수님의 피값으로 우리가 구속된 것
이것이 바로 속량입니다. 값을 치르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자신의 피값으로 우리를 사셨습니다.
우리 인간은 원래 죄의 종이었고, 사단의 노예로 살다가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였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자신의 생명을 바쳐 피값을 지불하심으로써 우리를 죄에서 해방시키셨습니다.
예수님은 나의 구세주이십니다
- 예수님은 나를 위해 값을 치르셨습니다.
- 예수님은 나를 자유케 하셨습니다.
- 예수님은 나의 주인이시며, 나의 구세주이십니다.
예수님, 감사합니다.
예수님, 사랑합니다.
요점 단어
- 속량 뜻
- 성경 속량 의미
- 예수님의 속량
- 속량과 구속의 차이
- 노예시장과 속량
- 예수님의 피값
- 기독교 구원 개념
이 글은 예수님의 속량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작성되었습니다.
속량의 의미를 깊이 깨닫고, 예수님의 사랑을 경험하시길 바랍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