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22장 #발람사건 #신약묵상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 22장은 발람과 발락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처음 발람에게 “가지 말라” 고 명확히 말씀하셨지요. 하지만 발람은 여전히 보상과 명예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다시 하나님의 뜻을 묻습니다. 결국 하나님은 “가라” 고 허락하셨지만, 이는 곧 탐욕을 드러내는 시험 이었어요. 1.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야고보서 4:3은 이렇게 말합니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기 때문이라.” 발람의 기도는 순종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이미 답을 받은 상태에서 “혹시 다른 길은 없을까?” 를 묻는 욕심 어린 기도였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하나님의 “아니”라는 답을 받아들일 줄 모르고, 다시 물을 때가 많지요. 2. 하나님의 조건부 허락과 주권 하나님은 발람에게 “가라, 그러나 내가 시키는 말만 하라”라고 하셨습니다(민 22:35). 이는 곧 인간이 탐욕으로 움직여도, 하나님의 주권과 뜻은 결코 꺾이지 않는다 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8:28의 말씀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조차 사용하여 결국 선을 이루시는 분 이십니다. 3. 경고의 사건과 하나님의 은혜 발람의 나귀가 천사를 본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발람이 욕심의 길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경고의 신호 를 보내신 것이지요.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말씀, 양심, 그리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우리에게 “멈춰라, 다시 생각해라”라는 사인을 주십니다. ✝️ 교훈 하나님은 우...

예수님께 용서받은 자, 그 마음은 다릅니다


■ 예수님께 용서받은 자, 그 마음은 다릅니다



사람은 누구나 실수하고 넘어질 수 있는 존재입니다. 그러나 그 순간, 우리가 어디로 가는지가 중요해요. **예수님께 용서를 받은 사람**, 그는 자신의 죄를 기억하면서도, **더는 그 죄에 눌려 살지 않고**, 용서의 은혜로 새 삶을 살아가는 자입니다.

■ 예수님의 사랑은 꾸짖음보다 크고 넓습니다

예수님은 베드로에게 세 번이나 물으셨어요.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그 말씀은 과거의 실수를 들추는 것이 아니라, **사랑으로 다시 세우시기 위한 부르심**이었어요.

하나님은 우리를 정죄하기 위해 부르시는 분이 아니십니다. 오히려 실패한 자를 붙잡아 일으키시고, “내 양을 먹이라”는 사명을 다시 주시는 분이세요.

■ 용서받은 자는 용서할 줄 압니다

진심으로 예수님의 용서를 체험한 사람은 다른 사람의 허물에도 쉽게 정죄하지 않아요. 왜냐하면, 자신도 **전적인 은혜로 살아가고 있다는 걸** 알기 때문입니다.

누가 어떤 말을 해도, 흥분하거나 맞서기보다 조용히 듣고, 수긍하는 마음을 품을 수 있어요. **용서받은 자는 마음이 부드럽고, 말이 절제되어 있어요.**

■ 말다툼보다 진리 안에서 침묵할 때

세상은 싸움과 논쟁이 가득한 곳이에요. 하지만 진리 안에서 침묵하는 것은 결코 약한 것이 아닙니다. **진정한 강함은 예수님처럼 말없이 참는 것**에서 나와요.

욕하지 말고, 다투지 말라는 말씀은 우리에게 **더 큰 자유와 평안을 주는 진리**입니다.

■ 옥합을 깬 여인처럼

한 여인이 있었어요. 그녀는 많은 죄를 지었지만, 예수님 앞에서 비싼 옥합을 깨뜨렸어요. 눈물로 예수님의 발을 적시고, 머리카락으로 닦으며 사랑을 고백했죠.

예수님은 말씀하셨어요. “많이 용서받은 자는 많이 사랑하게 된다.” (누가복음 7:47)
그 여인은 세상 사람들에게는 정죄의 대상이었지만, **예수님께는 진짜 예배자였던 거예요.**

■ 목양의 마음은 용서로부터 시작됩니다

오늘날 교회 안에서나 삶의 자리에서 **우리가 진짜 목양자 되기를 원한다면**, 가장 먼저 배워야 할 것은 ‘용서’입니다.

말로 이기려 하지 않고, 판단하려 하지 않으며, 넘어지는 자에게 손을 내밀 수 있는 그 마음, **그것이 예수님의 마음이자 목양의 시작이죠.**

■ 비판보다 회복을, 정죄보다 사랑을

우리는 종종 바리새인처럼 비교하고, 판단하고, 자신을 높이려는 유혹에 빠집니다. 그러나 그 길은 마귀가 기뻐하는 길이에요.

예수님께 용서를 받은 우리는 사랑의 말, 축복의 말, 회복의 말을 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도 누군가의 기도와 용서 덕분에 여기까지 온 존재이기 때문이에요.**

■ 오늘도 예수님처럼 용서하며 살기

사랑하는 여러분, 오늘 하루, 누군가의 실수나 말에 마음이 흔들릴 때 예수님의 마음을 먼저 기억해보세요.

“내가 너를 용서했다. 그러니 너도 용서하라.” 이 주님의 음성을 마음에 품고, 비판하지 않고 품으며 살아가는 하루 되시길 소망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