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광야의 처음을 기억하며 남은 날을 걷는 법 은혜 회복 실천 묵상 인생의 끝에서 묻습니다, 광야의 처음 은 무엇을 남겼나요? 끝자락에 서 보니, 시작은 의외로 광야 였어요. 길이 막막했는데요, 그 황량한 자리에서 하나님 한 분 을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 뿌린 눈물과 기도가 오늘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더라고요. 1. 왜 다시 ‘처음’을 돌아보나요? 우리는 성공과 실패를 크게 기억하지만, 삶을 바꾼 순간은 대개 길이 안 보이던 때 였습니다. 한밤의 작은 위로, 뜻밖의 손길, 새벽의 한 줄 말씀… 우연이 아니었죠.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삼상 7:12) 에벤에셀의 고백이 지금도 유효합니다. 끝의 지혜는 화려한 피날레가 아니라 초심으로의 귀환 에서 태어나요. 광야 수업의 핵심은 의존 이었습니다. 내 힘보다 크신 분께 기대는 연습이었죠. 2. 남은 인생, 무엇을 붙들며 살까요? ① 감사 — 불평보다 먼저 드리는 고백이에요 만나가 익숙해지면 금세 불평이 나왔죠. 이젠 작아 보이는 공급에도 “충분합니다” 를 말해 보자고요. 감사는 마음의 각도를 살짝 틀어 줍니다. 아침: “오늘도 숨 쉬게 하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시작해요. 한 끼 앞에서: 함께 먹는 은혜를 짧게 감사해요. 잠들기 전: 하루의 작은 기적 1가지를 기록합니다. ② 순종 — 완벽한 계획보다 오늘 한 걸음입니다 구름기둥이 멈추면 멈추고, 움직이면 따라갔습니다. 순종은 복잡한 전략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선한 선택 이죠. 완벽하지 않아도, 오늘 할 수 있는 착한 일 하나에 발을 내딛어요. ③ 사명 — 나이와 상관없이 갱신됩니다 끝자락이라고 사명이 끝난 건 아니에요. 경험·눈물·축적된 기도 는 다음 세대를 살리는 자산입니다. 나눔과 위로, 중보로 흘려보내면 사명은 더 깊어질 거예요....

묻고 또 묻는 믿음 – 다윗처럼 하나님께 질문하는 삶

■ 묻고 또 묻는 믿음 – 다윗처럼 하나님께 질문하는 삶

성경을 읽다 보면 우리의 마음을 흔드는 인물들이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다윗은 특별한 사람입니다.
그는 단순한 왕이 아니라, 강력한 군사력을 갖춘 이스라엘의 지도자였어요.


주변 국가들이 함부로 건드릴 수 없을 정도로 탄탄한 나라를 다스리고 있었죠.

그 명성은 두로의 왕 히람이 그의 궁전을 지어줄 정도로 대단했습니다.
또 다윗은 여러 명의 아내를 두고 많은 자녀를 낳아, 당시 기준으로 매우 부유한 삶을 살았던 인물입니다.

■ 그러나 완전하지 않았던 그의 삶

하지만, 다윗도 완벽하지는 않았어요. 그는 이웃의 아내 밧세바를 탐해 간음을 저지르고,
그 남편인 우리야를 전쟁터에서 죽게 한 살인자이기도 했죠.

그런 다윗에게 하나님은 선지자 나단을 보내어 책망하셨습니다.
그리고 그는 침상이 눈물로 젖도록 깊이 회개하며 하나님 앞에 엎드렸어요.

죄는 분명 있었지만, 다윗은 회개의 자리에서 하나님의 용서를 구했던 사람이었습니다.

■ 하나님께 ‘계속’ 물었던 사람

다윗의 삶에서 특별히 눈에 띄는 것은 결정을 앞두고 언제나 하나님께 묻는 태도였어요.
블레셋이 쳐들어왔을 때, 그는 자신의 판단이나 경험에 의지하지 않고, 먼저 하나님께 물었습니다.

내가 블레셋 사람을 치러 올라가리이까?” – 역대상 14:10

하나님은 그에게 분명한 응답을 주셨고, 다윗은 그 뜻을 따라 전투에 나아가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블레셋이 또다시 침입했을 때도 그는 한 번 더 하나님께 여쭙습니다.

다윗이 다시 하나님께 묻자온대…” – 역대상 14:14

이처럼 그는 비슷한 상황에서도 자기 방식대로 하지 않고,
매번 하나님의 인도를 구하며 한 걸음씩 나아갔습니다.

■ 기도하고, 응답받고, 결국 승리하는 인생

때로는 우리 주변에도 ‘블레셋’ 같은 존재들이 있죠.
직장이나 교회, 가정, 혹은 인간관계 속에서 그 사람만 없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들 때도 있는데요,

놀랍게도 그런 존재 때문에 우리는 하나님께 무릎 꿇게 되고, 결국 응답을 통해 승리를 경험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묻기를 기다리시는 분이에요.
묻는 자에게 길을 열어주시고, 순종하는 자에게 승리를 허락하십니다.

■ 지금 나는 누구에게 묻고 있을까요?

요즘 나의 결정들, 크고 작은 선택들 속에서
나는 과연 하나님께 ‘진심으로 묻고’ 있나요?
아니면 익숙한 방식이나 내 경험만을 의지하고 있진 않을까요?

다윗처럼 실수도 많고 약점도 있는 우리지만,
하나님 앞에 묻고, 응답을 기다리는 믿음만큼은 놓치지 않아야 해요.

■ 결론 – 묻는 자에게 반드시 길이 보입니다

묻는 기도는 단순한 질문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동행입니다.
오늘도 우리의 삶에 다양한 문제와 선택이 찾아오겠지만, 그 앞에서 먼저 주님께 여쭙는 마음을 회복해야 합니다.

💬 기도 → 응답 → 순종 → 승리
이 네 가지는 성도의 인생길을 밝히는 등불입니다.

하나님께 묻고, 또 묻는 인생은 결코 헛되지 않아요.
다윗처럼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삶을 살아가길 간절히 바랍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