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22장 #발람사건 #신약묵상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 22장은 발람과 발락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처음 발람에게 “가지 말라” 고 명확히 말씀하셨지요. 하지만 발람은 여전히 보상과 명예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다시 하나님의 뜻을 묻습니다. 결국 하나님은 “가라” 고 허락하셨지만, 이는 곧 탐욕을 드러내는 시험 이었어요. 1.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야고보서 4:3은 이렇게 말합니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기 때문이라.” 발람의 기도는 순종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이미 답을 받은 상태에서 “혹시 다른 길은 없을까?” 를 묻는 욕심 어린 기도였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하나님의 “아니”라는 답을 받아들일 줄 모르고, 다시 물을 때가 많지요. 2. 하나님의 조건부 허락과 주권 하나님은 발람에게 “가라, 그러나 내가 시키는 말만 하라”라고 하셨습니다(민 22:35). 이는 곧 인간이 탐욕으로 움직여도, 하나님의 주권과 뜻은 결코 꺾이지 않는다 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8:28의 말씀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조차 사용하여 결국 선을 이루시는 분 이십니다. 3. 경고의 사건과 하나님의 은혜 발람의 나귀가 천사를 본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발람이 욕심의 길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경고의 신호 를 보내신 것이지요.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말씀, 양심, 그리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우리에게 “멈춰라, 다시 생각해라”라는 사인을 주십니다. ✝️ 교훈 하나님은 우...

함께 지어져 가요

 

함께 지어져 가요

"한 사람의 리더십이 아닌, 모두의 헌신으로 세워지는 하나님의 나라"라는 고백이 먼저 마음에 깊이 울려 퍼졌습니다.


역대상 말씀을 새벽예배 시간마다 계속해서 묵상해 왔는데요, 처음에는 다윗이 모든 것을 혼자 해낸 것처럼 보였답니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니, 그는 결코 혼자가 아니었다는 사실이 새롭게 다가오면서 큰 은혜가 되었어요.

오늘 새벽 본문은 역대상 27장 전체였지만, 실제로는 1~3절만 읽고 깊은 나눔을 가졌어요.

이 장은 단순한 옛날 이스라엘의 행정 문서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는 영적인 통찰과 공동체의 소중함이 담겨 있답니다.

다윗은 혼자서 나라를 통치한 것이 아니라, 수많은 동역자들과 함께 하나님의 나라를 조직하고 세워갔어요. 특별히 12달을 기준으로 각각 이스라엘을 대표할 군대 지휘관들을 세웠는데요, 단지 군사 조직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을 위한 섬김의 구조를 마련한 모습이 인상 깊었죠.

이어지는 16~24절에서는 각 지파를 다스릴 자들이 정해지고요, 국가의 재산과 곳간도 책임질 신실한 이들이 임명되어 있었어요. 포도원, 밭, 창고, 양 떼, 기름 창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충성된 일꾼들이 자신에게 맡겨진 역할에 충실했답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다윗은 안심하고 나라를 운영할 수 있었겠지요.

특별히 다윗의 곁을 지킨 동역자들이 참 귀하게 느껴졌는데요, 몇몇 이름이 눈에 띕니다.

  • 요나단은 다윗의 숙부로서 모사이자 서기관으로 지혜를 나누었고,
  • 여히엘은 왕자들의 양육을 맡아 섬겼어요.
  • 아히도벨은 전략가로서 깊은 계략을 짜며 도왔고,
  • 후새는 왕의 마음을 함께 나눈 진정한 친구였죠.
  • 요압은 군대의 총지휘관으로, 실제 명령을 수행하는 핵심 역할을 했답니다.

이 모든 사람들의 이름은 단순한 명단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기억하시는 동역자의 흔적이 아닐까요?

이 말씀을 묵상하며 깨달았어요.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도 이와 같은 신앙 공동체 안에 함께 속해 있다는 것이죠.

교회도, 가정도, 사회도 결코 한 사람의 능력으로 세워지는 게 아니에요.
누군가는 말씀을 전하고, 또 다른 이는 기도로 받쳐주며, 어떤 이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조용히 섬기고 있는 거죠.

에베소서의 말씀처럼, “지체는 많으나 한 몸이요, 그리스도의 몸”입니다. 우리 각자는 모두 하나님 나라를 세워가는 동역자예요.

그리고 그 중심에는 하나님이 세우신 질서와 은혜가 흐르고 있다는 사실, 늘 잊지 마세요.

혹시 이렇게 생각해본 적 있으신가요?
“나는 눈에 띄는 역할이 없는데…”

하지만 그건 오해예요. 기도하는 자, 들어주는 사람, 조용히 위로를 전하는 자, 예배에 함께 자리하는 분까지 모두가 주님의 귀한 도구랍니다.

다윗도 완벽한 리더는 아니었어요. 하지만 함께할 사람들을 신뢰하고 세움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닮은 공동체를 이루어갔지요.

오늘도 우리 역시 혼자가 아닙니다.
여러분의 작은 손길, 작은 순종이 하나님 나라를 세우는 소중한 벽돌이 되어간다는 것, 꼭 기억하세요.

우리 모두는 “그리스도 안에서 함께 지어져 가는 존재”입니다. 아멘!

“그리스도 안에서 함께 지어져 가느니라” (에베소서 2:22)

주님, 우리가 주 안에서 함께 지어져가는 한 가족임을 매일 새롭게 알게 하소서.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