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광야의 처음을 기억하며 남은 날을 걷는 법 은혜 회복 실천 묵상 인생의 끝에서 묻습니다, 광야의 처음 은 무엇을 남겼나요? 끝자락에 서 보니, 시작은 의외로 광야 였어요. 길이 막막했는데요, 그 황량한 자리에서 하나님 한 분 을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 뿌린 눈물과 기도가 오늘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더라고요. 1. 왜 다시 ‘처음’을 돌아보나요? 우리는 성공과 실패를 크게 기억하지만, 삶을 바꾼 순간은 대개 길이 안 보이던 때 였습니다. 한밤의 작은 위로, 뜻밖의 손길, 새벽의 한 줄 말씀… 우연이 아니었죠.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삼상 7:12) 에벤에셀의 고백이 지금도 유효합니다. 끝의 지혜는 화려한 피날레가 아니라 초심으로의 귀환 에서 태어나요. 광야 수업의 핵심은 의존 이었습니다. 내 힘보다 크신 분께 기대는 연습이었죠. 2. 남은 인생, 무엇을 붙들며 살까요? ① 감사 — 불평보다 먼저 드리는 고백이에요 만나가 익숙해지면 금세 불평이 나왔죠. 이젠 작아 보이는 공급에도 “충분합니다” 를 말해 보자고요. 감사는 마음의 각도를 살짝 틀어 줍니다. 아침: “오늘도 숨 쉬게 하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시작해요. 한 끼 앞에서: 함께 먹는 은혜를 짧게 감사해요. 잠들기 전: 하루의 작은 기적 1가지를 기록합니다. ② 순종 — 완벽한 계획보다 오늘 한 걸음입니다 구름기둥이 멈추면 멈추고, 움직이면 따라갔습니다. 순종은 복잡한 전략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선한 선택 이죠. 완벽하지 않아도, 오늘 할 수 있는 착한 일 하나에 발을 내딛어요. ③ 사명 — 나이와 상관없이 갱신됩니다 끝자락이라고 사명이 끝난 건 아니에요. 경험·눈물·축적된 기도 는 다음 세대를 살리는 자산입니다. 나눔과 위로, 중보로 흘려보내면 사명은 더 깊어질 거예요....

하루하루가 빠르게 지나갈 때, 예수님을 기억하며 사는 삶

 🙏 하루하루가 빠르게 지나갈 때, 예수님을 기억하며 사는 삶

아침이 밝았습니다. 눈을 뜨자마자 서둘러 출근 준비를 하고, 커피 한 잔으로 정신을 깨우고 나면 어느덧 점심시간이 다가옵니다. 점심을 먹고 몇 번 오가다 보면, 밖은 이미 어둑어둑해지고 퇴근 시간이 가까워지죠.


"하루가 어떻게 이렇게 빠를까?" 문득 그런 생각이 듭니다. 하기야, 66km 속도로 달리는 삶이라면 그럴 만도 하죠. 바쁜 일상 속에서 정신없이 하루를 보내다 보면, 내가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지도 모를 때가 있습니다.


📖 마가복음 1장에서 만나는 예수님의 하루

그러다 문득 마가복음 1장에서 예수님의 하루를 떠올려 보게 됩니다. 이 땅에 계셨던 예수님께서도 하루를 얼마나 바쁘고도 성실하게 사셨는지 말입니다.

  • 오전: 회당에서 말씀을 가르치시고 귀신 들린 자를 고쳐주시고,
  • 오후: 베드로의 장모를 심방하여 열병을 고쳐주시고,
  • 저녁: 문 앞에 모인 수많은 병든 자들을 위로하고 치유하셨습니다.

그리고 이른 새벽, 모두가 잠들어 있는 그 시간에 예수님은 한적한 곳에서 홀로 기도하셨습니다.

인간의 육신을 입고 오신 예수님이 얼마나 피곤하셨을까요? 하지만 그분은 쉼 없이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성실하게, 묵묵히 하루를 살아내셨습니다.


⏳ 나는 지금 무엇을 위해 바쁘게 살고 있을까요?

그에 반해 나는... 솔직히 말해 하나님 나라보다 나 자신과 가족을 위해 분주하게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난주 예배 말씀 중 한 구절이 마음에 계속 남아 있습니다.

“감사로 제사를 드리는 자가 나를 영화롭게 하나니”
시편 50:23

하나님을 영화롭게 한다는 것, 그것이 바로 소요리 문답의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답이기도 하죠.
사람의 제일 되는 목적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영원토록 그를 즐거워하는 것이다.

그런데 시편은 말씀합니다. “감사로 예배 드리는 자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한다”고요.

감사함으로 예배 드리는 것... 말은 쉬워 보여도, 진심으로, 전심으로 드리는 예배는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그래서 결심했습니다. 작은 것부터 다시 시작하자.


🎁 삶의 예배, 예수님과 함께 걷는 하루

로마서 12장 1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라. 이는 너희가 드릴 영적 예배니라.”

삶 가운데 예수님을 의식하며, 인식하며 살아가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삶의 예배’가 아닐까요?

꼭 시간과 장소를 따로 떼어 놓아야만 예배가 되는 것은 아니잖아요. 일하면서도, 걷는 길에서도, 운전하면서도 예수님을 생각하고, "예수님 사랑해요. 감사해요." 고백하는 순간, 그 모든 순간이 예배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도 부족하고, 초보 수준인 저지만 예수님을 사랑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향해, 오늘도 작게 시작해보려 합니다.


🌈 결론: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삶의 첫걸음

하나님 나라 확장은 어쩌면 위대한 일이 아니라 매일의 삶 속에서 예수님을 의식하며 살아가는 평범한 하루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 아닐까요?

작은 감사, 작은 고백, 작은 예배 그 모든 것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귀한 삶의 표현이 될 수 있음을 오늘도 잊지 않으려 합니다.

“감사로 제사를 드리는 자가 나를 영화롭게 하나니”
시편 50:23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