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광야의 처음을 기억하며 남은 날을 걷는 법 은혜 회복 실천 묵상 인생의 끝에서 묻습니다, 광야의 처음 은 무엇을 남겼나요? 끝자락에 서 보니, 시작은 의외로 광야 였어요. 길이 막막했는데요, 그 황량한 자리에서 하나님 한 분 을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 뿌린 눈물과 기도가 오늘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더라고요. 1. 왜 다시 ‘처음’을 돌아보나요? 우리는 성공과 실패를 크게 기억하지만, 삶을 바꾼 순간은 대개 길이 안 보이던 때 였습니다. 한밤의 작은 위로, 뜻밖의 손길, 새벽의 한 줄 말씀… 우연이 아니었죠.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삼상 7:12) 에벤에셀의 고백이 지금도 유효합니다. 끝의 지혜는 화려한 피날레가 아니라 초심으로의 귀환 에서 태어나요. 광야 수업의 핵심은 의존 이었습니다. 내 힘보다 크신 분께 기대는 연습이었죠. 2. 남은 인생, 무엇을 붙들며 살까요? ① 감사 — 불평보다 먼저 드리는 고백이에요 만나가 익숙해지면 금세 불평이 나왔죠. 이젠 작아 보이는 공급에도 “충분합니다” 를 말해 보자고요. 감사는 마음의 각도를 살짝 틀어 줍니다. 아침: “오늘도 숨 쉬게 하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시작해요. 한 끼 앞에서: 함께 먹는 은혜를 짧게 감사해요. 잠들기 전: 하루의 작은 기적 1가지를 기록합니다. ② 순종 — 완벽한 계획보다 오늘 한 걸음입니다 구름기둥이 멈추면 멈추고, 움직이면 따라갔습니다. 순종은 복잡한 전략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선한 선택 이죠. 완벽하지 않아도, 오늘 할 수 있는 착한 일 하나에 발을 내딛어요. ③ 사명 — 나이와 상관없이 갱신됩니다 끝자락이라고 사명이 끝난 건 아니에요. 경험·눈물·축적된 기도 는 다음 세대를 살리는 자산입니다. 나눔과 위로, 중보로 흘려보내면 사명은 더 깊어질 거예요....

진짜 섬김은 어디에서 시작될까요?

🌿 진짜 섬김은 어디에서 시작될까요?

우리는 하나님께 쓰임받고 싶다는 소망을 자주 품게 됩니다. 그러나 그 시작점이 어디인지 묻는다면, 답을 내리기 쉽지 않은데요. 


 정작 섬김의 본질은 큰 무대가 아닌, 조용하고 낮은 자리에서 피어난다는 걸 예수님께서 직접 보여주셨죠.

한 작은 교회 이야기입니다.
언제나 가장 먼저 교회에 도착하시는 권사님 한 분이 계셨어요. 누구보다 일찍 도착하셔서 예배당 바닥을 정성껏 닦고, 의자를 하나하나 가지런히 정리하시곤 했습니다. 식사 시간이 되면 항상 제일 끝자리에 앉아 젊은 이들이 먼저 식사하도록 조용히 배려하셨지요.

어느 날 누군가가 물었습니다. “왜 늘 뒤쪽에 앉으세요?” 그분은 조용히 웃으며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예수님도 끝에 계셨고, 무릎을 꿇으셨잖아요.” 그 말에 주변에 있던 사람들의 눈시울이 붉어졌습니다.

🦶 무릎을 꿇는 자리가 가장 귀한 자리예요

요한복음 13장에 보면, 예수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기시는 장면이 나옵니다. 그 시대의 문화에서 발을 씻긴다는 건 가장 낮은 종이 수행하는 일이었는데요, 그 예수님께서 몸소 무릎을 꿇고 그 일을 하셨다는 것이죠.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요 13:15) 이 말씀은 단지 그 시대의 제자들에게만 주어진 게 아니에요. 오늘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를 향한 예수님의 본이자 명령입니다.

🍽 식탁에서 시작되는 작고 깊은 섬김

섬김은 거창하게 시작할 필요가 없어요. 정말 중요한 섬김은 일상에서 조용히 실천되는 작고 따뜻한 배려에서 비롯되곤 합니다. 식사 시간에 “먼저 드세요” 한 마디, 무거운 짐을 대신 들어주는 순간, 사람들이 꺼리는 화장실 청소를 스스로 맡는 모습, 이 모든 것이 예수님의 본을 닮아가는 훈련이 될 수 있지요.

⛪ 건강한 교회는 끝자리에서 자랍니다

예배당을 화려하게 꾸미는 것보다, 서로를 위해 기꺼이 낮아지는 마음, 먼저 무릎 꿇는 태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조용히 섬기는 손길이야말로 건강한 교회의 근간을 세우는 힘이 됩니다.

예수님은 강요하시지 않았어요. 그분은 직접 행하시고 “너희도 이렇게 하라”고 말씀하셨죠. 섬김은 말로 가르치는 게 아니라, 삶으로 드러나는 것입니다.

🙇 예수님처럼 살고 싶다면, 어디서부터 시작할까요?

주님은 우리에게 작은 것에 충성하라고 하셨습니다. 그 작은 것, 바로 아침 식사에서 젓가락을 늦게 드는 행동일 수도 있고요, 지하철에서 어르신께 자리를 양보하는 순간일 수도 있어요.

섬김은 선택이 아니라, 제자된 자의 본능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예수님처럼 무릎을 꿇고, 끝자리에 앉을 수 있어야 해요. 그곳이 바로 주님이 계셨던 자리니까요.

💬 오늘의 묵상 한 문장

“끝자리에서 진정한 섬김이 시작되고, 그곳에서 우리는 예수님을 닮아갑니다.”

오늘 하루, 조용히 생각해보세요. “나는 지금 어디에 앉아 있는가?”, “누구의 발을 씻길 수 있을까?” 그리고 아주 작은 실천 하나로 섬김을 시작해보세요. 그 작은 시작이 주님 보시기에 가장 위대한 헌신이 될지도 모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