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22장 #발람사건 #신약묵상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 22장은 발람과 발락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처음 발람에게 “가지 말라” 고 명확히 말씀하셨지요. 하지만 발람은 여전히 보상과 명예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다시 하나님의 뜻을 묻습니다. 결국 하나님은 “가라” 고 허락하셨지만, 이는 곧 탐욕을 드러내는 시험 이었어요. 1.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야고보서 4:3은 이렇게 말합니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기 때문이라.” 발람의 기도는 순종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이미 답을 받은 상태에서 “혹시 다른 길은 없을까?” 를 묻는 욕심 어린 기도였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하나님의 “아니”라는 답을 받아들일 줄 모르고, 다시 물을 때가 많지요. 2. 하나님의 조건부 허락과 주권 하나님은 발람에게 “가라, 그러나 내가 시키는 말만 하라”라고 하셨습니다(민 22:35). 이는 곧 인간이 탐욕으로 움직여도, 하나님의 주권과 뜻은 결코 꺾이지 않는다 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8:28의 말씀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조차 사용하여 결국 선을 이루시는 분 이십니다. 3. 경고의 사건과 하나님의 은혜 발람의 나귀가 천사를 본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발람이 욕심의 길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경고의 신호 를 보내신 것이지요.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말씀, 양심, 그리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우리에게 “멈춰라, 다시 생각해라”라는 사인을 주십니다. ✝️ 교훈 하나님은 우...

번성의 때, 우리는 왜 조심해야 할까요?

■ 번성의 때, 우리는 왜 조심해야 할까요?

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삶이 힘들고 막막할 땐 하나님을 간절히 찾게 되는데, 어느덧 모든 일이 잘 풀리고 마음에 여유가 생기면… 기도와 말씀에 대한 열정이 조금씩 식어가는 자신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형통할 때 더 깊이 주님을 붙들라”는 메시지는, 단지 옛 이스라엘 이야기만이 아닌,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주시는 하나님의 경고**입니다.

✔ 요단 동쪽 지파들 — 루우벤, 갓, 므낫세 반 지파의 시작

역대상 5장에는 요단강 동쪽 땅에 정착한 루우벤 지파, 갓 지파, 므낫세 반 지파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들은 수적으로도 강했고요, 전쟁에도 능했어요. 하지만 그 승리의 근본은 따로 있었죠. 바로 그들이 하나님께 전심으로 부르짖으며 의뢰했기 때문이에요.

“그들이 싸울 때에 하나님께 부르짖었더니, 응답하셨으니 이는 그들이 그를 의뢰하였음이라.” (대상 5:20)

**전쟁의 승리도, 번영의 시작도 하나님께로부터 왔다는 사실을 그들은 알고 있었어요.** 그래서 하나님께 간절히 매달렸고, 하나님은 그 기도를 들으시고 응답하셨습니다.

✔ 그러나 그들은 점차 하나님을 멀리하게 되었어요

시간이 지나고 안정과 풍요가 주어지자, 그들의 마음은 조금씩 하나님에게서 멀어지기 시작했어요.
성경은 안타깝게도 이렇게 기록합니다.

“그들이 그 조상들의 하나님께 범죄하여… 이방 신들을 음란히 따랐으므로” (대상 5:25)

하나님의 은혜로 얻은 번영이 오히려 그들의 교만으로 이어졌고요, 마음이 흐트러지자 우상을 따르며 죄악에 빠져들게 된 겁니다.

**간절함이 사라진 자리엔 타락이 들어왔고요, 감사가 줄어든 곳엔 우상이 자리를 잡게 되었어요.** 이것은 단지 옛 이스라엘의 실수가 아니라, **지금 우리의 모습과도 닮아 있지 않을까요?**

✔ 결국 하나님의 징계가 임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오래 참으시는 분이지만, **돌이키지 않는 완고함 앞에서는 심판을 허락하시기도 합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앗수르 왕 디글랏 빌레셀을 일으켜 그들을 사로잡게 하셨어요.

그들은 결국 하라와 하볼, 고산 강가로 끌려가고 말았어요. 하나님께 등을 돌린 그 선택의 결과는, **축복이 아닌 포로됨이었고, 회복이 아닌 흩어짐이었습니다.**

✔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주는 영적 메시지

이 이야기는 지금의 우리에게도 **깊은 영적 각성을 촉구해요.** 혹시 나도 하나님께 간절했던 시절을 지나, **형통함 속에서 점점 기도의 자리를 놓치고 있진 않은가요?** 처음의 감사는 어디로 갔을까요?

  • ✔ 일이 잘되니 스스로 잘한 것처럼 느껴지지 않으셨나요?
  • ✔ 예배가 의무처럼 느껴질 때가 있진 않나요?
  • ✔ 기도가 점점 줄고, 다른 것으로 위안을 삼고 계시진 않나요?

하나님은 여전히 돌이키는 자를 기다리고 계십니다. 지금이라도 무릎 꿇고 나아간다면, 하나님은 **긍휼로 다시 회복의 길을 열어 주실 거예요.**

■ 결론: 번성의 순간, 가장 겸손하게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가세요

**형통할 때야말로, 영적으로 더 깨어 있어야 할 때입니다.** 처음 주셨던 은혜를 잊지 않고, 번성 속에서도 **하나님을 주인으로 모시고 살아간다면**, 우리는 무너지지 않을 거예요.

오늘 이 말씀을 마음에 새기며, “주님, 번성할수록 더 낮아지게 하시고, 높아질수록 더 엎드리게 하소서” 이렇게 기도하는 우리가 되기를 축복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