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광야의 처음을 기억하며 남은 날을 걷는 법 은혜 회복 실천 묵상 인생의 끝에서 묻습니다, 광야의 처음 은 무엇을 남겼나요? 끝자락에 서 보니, 시작은 의외로 광야 였어요. 길이 막막했는데요, 그 황량한 자리에서 하나님 한 분 을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 뿌린 눈물과 기도가 오늘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더라고요. 1. 왜 다시 ‘처음’을 돌아보나요? 우리는 성공과 실패를 크게 기억하지만, 삶을 바꾼 순간은 대개 길이 안 보이던 때 였습니다. 한밤의 작은 위로, 뜻밖의 손길, 새벽의 한 줄 말씀… 우연이 아니었죠.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삼상 7:12) 에벤에셀의 고백이 지금도 유효합니다. 끝의 지혜는 화려한 피날레가 아니라 초심으로의 귀환 에서 태어나요. 광야 수업의 핵심은 의존 이었습니다. 내 힘보다 크신 분께 기대는 연습이었죠. 2. 남은 인생, 무엇을 붙들며 살까요? ① 감사 — 불평보다 먼저 드리는 고백이에요 만나가 익숙해지면 금세 불평이 나왔죠. 이젠 작아 보이는 공급에도 “충분합니다” 를 말해 보자고요. 감사는 마음의 각도를 살짝 틀어 줍니다. 아침: “오늘도 숨 쉬게 하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시작해요. 한 끼 앞에서: 함께 먹는 은혜를 짧게 감사해요. 잠들기 전: 하루의 작은 기적 1가지를 기록합니다. ② 순종 — 완벽한 계획보다 오늘 한 걸음입니다 구름기둥이 멈추면 멈추고, 움직이면 따라갔습니다. 순종은 복잡한 전략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선한 선택 이죠. 완벽하지 않아도, 오늘 할 수 있는 착한 일 하나에 발을 내딛어요. ③ 사명 — 나이와 상관없이 갱신됩니다 끝자락이라고 사명이 끝난 건 아니에요. 경험·눈물·축적된 기도 는 다음 세대를 살리는 자산입니다. 나눔과 위로, 중보로 흘려보내면 사명은 더 깊어질 거예요....

예배는 선포입니다 – 믿음으로 준비하는 다윗의 마지막 사명

 

❖ 예배는 선포입니다 – 믿음으로 준비하는 다윗의 마지막 사명 ❖

인생의 마지막이 가까워질수록, 어떤 사람은 모든 것을 내려놓고 싶어 하기도 해요. 하지만 하나님을 사랑했던 다윗은 달랐습니다. 그는 노년에도 하나님을 향한 뜨거운 마음과 사명감을 끝까지 간직하며, 자신의 삶을 마무리하는 마지막 시간까지도 하나님의 집을 위해 철저히 준비했죠.


다윗은 아들 솔로몬을 이스라엘의 다음 왕으로 세우고, 성전 사역을 감당할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을 조직하며 하나님의 일을 이어갈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늙고 지쳤음에도, 그는 마지막까지 믿음으로 선포하며 움직였던 사람이에요.

☞ 성전을 위해 준비한 다윗, 그 믿음의 행보

게르손, 그핫, 므라리의 자손들은 레위 지파 중에서도 특별히 성전 봉사에 헌신하도록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이었습니다. 이들은 단지 무언가를 ‘도와주는 자’가 아니라, 거룩한 일을 수행하는 제사적 직무를 가진 이들이었죠.

그 중에서도 찬양하는 자들은 아침과 저녁으로 하나님 앞에 나아가 감사를 드리고, 찬송으로 영광을 올려드리는 역할을 맡았어요. 그들의 목소리는 단순한 노래가 아니었고, 하나님께 올리는 향기로운 제사였답니다.

☞ 성결하게, 구별되게, 거룩한 임무로

다윗은 아론과 모세의 자손들을 구별하여 제사장 직무에 세우고, 나머지 사람들에게도 각각의 직분을 정해주었는데요. 문을 지키는 자, 성물을 다루는 자, 악기를 연주하며 찬양하는 자 등 모두가 하나님 앞에 성실히 수종드는 사명을 받았던 것이죠.

이처럼 각자 다른 역할이었지만, 모두는 하나님을 예배하는 공동체의 일원이었어요. 우리도 오늘날, 예배당 안에서뿐 아니라 삶 속에서도 예배자로 살아가야 합니다.

☞ 하나님은 영이시니, 믿음으로 선포하며 예배하라

성경은 말씀합니다.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는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니라." 우리는 하나님을 직접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믿음으로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어요

그리고 바로 그 믿음은 ‘선포’를 통해 살아 움직이게 됩니다. “하나님은 내 인생의 주인이십니다.” “오늘도 하나님께 예배합니다.” 이런 고백들이 하나님 나라를 삶 속에 임하게 하는 능력이 되는 거예요.

예배는 단순한 의무가 아닙니다. 하나님의 임재를 인정하고, 그분과 동행하는 삶의 선언이에요. 찬양과 기도, 말씀 묵상, 감사와 사랑의 실천… 이 모두가 예배입니다.

☞ 다윗처럼 준비하며, 하나님께 드립시다

다윗은 성전을 직접 짓지는 못했지만, 모든 자재와 사람을 준비한 자였습니다. 이는 그가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를 삶으로 실천했다는 증거입니다.

우리도 각자의 자리에서 예배자가 되어야 해요. 특별한 일이나 환경이 주어질 때만 예배하는 것이 아니라, 평범한 일상 속에서도 믿음으로 선포하며 살아가는 삶 자체가 예배인 것이죠.

오늘도 이렇게 외쳐보세요. "하나님, 제 삶의 주인이 되어 주옵소서."
"모든 시간과 호흡이 주님께 드리는 예배가 되게 하소서."
그리고 그렇게 믿음으로 걸어가 보세요.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