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22장 #발람사건 #신약묵상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 22장은 발람과 발락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처음 발람에게 “가지 말라” 고 명확히 말씀하셨지요. 하지만 발람은 여전히 보상과 명예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다시 하나님의 뜻을 묻습니다. 결국 하나님은 “가라” 고 허락하셨지만, 이는 곧 탐욕을 드러내는 시험 이었어요. 1.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야고보서 4:3은 이렇게 말합니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기 때문이라.” 발람의 기도는 순종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이미 답을 받은 상태에서 “혹시 다른 길은 없을까?” 를 묻는 욕심 어린 기도였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하나님의 “아니”라는 답을 받아들일 줄 모르고, 다시 물을 때가 많지요. 2. 하나님의 조건부 허락과 주권 하나님은 발람에게 “가라, 그러나 내가 시키는 말만 하라”라고 하셨습니다(민 22:35). 이는 곧 인간이 탐욕으로 움직여도, 하나님의 주권과 뜻은 결코 꺾이지 않는다 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8:28의 말씀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조차 사용하여 결국 선을 이루시는 분 이십니다. 3. 경고의 사건과 하나님의 은혜 발람의 나귀가 천사를 본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발람이 욕심의 길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경고의 신호 를 보내신 것이지요.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말씀, 양심, 그리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우리에게 “멈춰라, 다시 생각해라”라는 사인을 주십니다. ✝️ 교훈 하나님은 우...

지금도 살아 숨 쉬는 성전, 바로 당신입니다

 

🏛️ 지금도 살아 숨 쉬는 성전, 바로 당신입니다

솔로몬이 웅장한 성전을 완공하고 나서, 그는 이스라엘 백성 앞에서 하나님을 향한 감사의 연설과 기도를 드렸어요. 그 기도 속에서 무려 다섯 번이나 반복된 말이 있는데요, 바로 "하나님의 이름을 위하여"라는 표현이었습니다.

이 말은 단순한 강조가 아니었어요. 그만큼 성전 건축은 **사람의 뜻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과 기쁨을 위해 이루어진 일**이었음을 보여주는 거죠.

그렇다면 지금 이 시대, 우리에게 묻고 싶습니다.
오늘날 성전은 어디에 있을까요?

⛪ 성전이 건물이 아니라면, 그 정체는 무엇일까요?

오늘 목사님도 강조하신 것처럼, **예배당이 곧 성전은 아닙니다.** 진짜 성전은 예수님을 믿는 우리가 되었다는 사실, 믿어지시나요?


성령님께서 내 안에 거하신다면, 그분이 머무시는 바로 이 몸과 삶이 **살아 있는 성전**이 되는 겁니다.

고린도전서 6장 19절은 이렇게 말씀하죠:
“너희 몸은 너희가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바, 너희 안에 계신 성령의 전인 줄을 알지 못하느냐.”

이 말씀을 곱씹을수록, 마음이 뭉클해지지 않나요? 하늘과 땅의 권세를 지닌 예수님께서, 연약하고 부족한 나를 **성전 삼아 오셨다니**, 이보다 더 큰 은혜가 있을까요?

📌 하나님의 이름을 위하여, 당신의 삶이 지어지고 있어요

성전은 단지 예배를 드리는 장소 그 이상이었어요.
**하나님의 뜻, 하나님의 이름, 하나님의 기쁨**을 위해 존재하는 공간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오늘, **나라는 존재가 성전이라면**, 나는 과연 누구를 위해 살고 있는 걸까요?

혹시 지금도 **내 이름을 위해, 내 욕심을 위해 살아가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하나님은 우리에게 물으십니다. “너는 나의 이름을 위하여 살아가고 있느냐?”

🌿 성전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자기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에요.

🕊️ 예수님의 영이 내 안에 거하신다면, 삶의 목적도 바뀌어야겠죠?

예수님께서 내 안에 살아 계시다면, 나는 더 이상 자기 중심의 삶을 살아갈 수 없게 됩니다. 이제는 예수님의 이름을 위해, 예수님의 뜻을 따라 살아가야 해요.

갈라디아서 2장 20절은 우리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

이 말씀은 단순한 신학적 선언이 아니라, **매일을 살아가는 태도와 방향**을 바꾸는 능력입니다.

💡 내가 아니라 예수님으로 사는 삶, 바로 그것이 **성전으로 살아가는 자의 모습**이에요.

🔄 반복되는 일상 속, 성전으로 살아가고 있나요?

하루하루가 무한 반복처럼 느껴질 때가 있어요.
아침에 일어나, 일하고, 먹고, 자고… 마치 개미처럼 바퀴 돌듯 살아가는 듯한 삶 말이에요.

하지만 그런 순간에도 하나님은 말씀하세요.
“내가 너를 성전 삼아 거하고 있단다.”

비록 아직도 부족하고, 변화되지 않은 나의 모습을 마주하게 되더라도 **그 안에 임하신 하나님의 영은 변하지 않으십니다.** 그리고 그분은, 오늘도 성전된 나를 통해 일하고 계세요.

📣 마무리하며 드리는 한 가지 질문

지금 당신은 누구의 이름을 위해 살아가고 계신가요?
자신을 위해 사는 삶은 언젠가 지치고 무너질 수 있어요.
그러나 예수님의 이름을 위해 살아가는 삶은, 언제나 **하나님과 연결된 놀라운 역사 속 일부**가 됩니다.

오늘도 주님께서 내 안에 계심을 기억하며, 성전답게, 예배자의 마음으로 살아가 보세요.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