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22장 #발람사건 #신약묵상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 22장은 발람과 발락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처음 발람에게 “가지 말라” 고 명확히 말씀하셨지요. 하지만 발람은 여전히 보상과 명예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다시 하나님의 뜻을 묻습니다. 결국 하나님은 “가라” 고 허락하셨지만, 이는 곧 탐욕을 드러내는 시험 이었어요. 1.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야고보서 4:3은 이렇게 말합니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기 때문이라.” 발람의 기도는 순종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이미 답을 받은 상태에서 “혹시 다른 길은 없을까?” 를 묻는 욕심 어린 기도였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하나님의 “아니”라는 답을 받아들일 줄 모르고, 다시 물을 때가 많지요. 2. 하나님의 조건부 허락과 주권 하나님은 발람에게 “가라, 그러나 내가 시키는 말만 하라”라고 하셨습니다(민 22:35). 이는 곧 인간이 탐욕으로 움직여도, 하나님의 주권과 뜻은 결코 꺾이지 않는다 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8:28의 말씀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조차 사용하여 결국 선을 이루시는 분 이십니다. 3. 경고의 사건과 하나님의 은혜 발람의 나귀가 천사를 본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발람이 욕심의 길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경고의 신호 를 보내신 것이지요.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말씀, 양심, 그리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우리에게 “멈춰라, 다시 생각해라”라는 사인을 주십니다. ✝️ 교훈 하나님은 우...

어린양이신 예수 그리스도

 어린양이신 예수 그리스도


도미티안 황제의 박해로 엄청난 고통을 당하고 있을때 예수님 믿은자들의 한가지 소망은

이제도 계시고 전에도 계셨던 그 하나님 보여주세요 아닐까 싶습니다.


그래서 어제 계4장에 하늘이 열리고 보좌 앉으신 하나님을 보여주심으로 '나 여기 있어,

힘들지 조그만 더 참아, 힘내' 

이러한 내용들을 7교회 편지한 내용 입니다


오늘 새벽예배에는 계5장을 했는디, 보좌에 앉으신 그 분께서 오르손에 두루마리가 있네요.


이 두루마리 속에 이 땅의 모든 역사와 구원이 어떻게 완성되는지를 보여주는 영적 전환점과도 같다가 할까요.


 사도 요한은 하늘의 보좌에서 펼쳐지는 거룩한 비밀을 목격했는데요, 그 중심에는 어린양 예수 그리스도께서 서 계셨습니다.


그러면, 봉인된 두루마리와 그 인을 뗄 자는 누구인가요?


요한은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의 오른손에 들린 두루마리를 봅니다. 그 문서는 안팎으로 글이 빼곡히 쓰여 있었고, 일곱 개의 인으로 봉해져 있었어요. 이 두루마리는 단순한 책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 계획과 구속의 청사진이 담긴 특별한 문서였던 거죠.


하지만 그 인을 열 수 있는 자는 아무도 없었습니다. 하늘에도, 땅에도, 땅 아래에도 아무도 그 책을 열 자가 없어, 요한은 눈물을 흘렸어요. 그 장면은 인간의 무력함과, 죄 가운데 놓인 인류의 안타까움을 깊이 상징하고 있습니다.


그때 한 장로가 요한에게 말해요. “울지 마십시오. 유대 지파의 사자, 다윗의 뿌리가 이겼으니 그 책과 그 인을 떼실 수 있습니다.”


요한이 눈을 들어 바라보았을 때, 보좌와 네 생물, 장로들 가운데 서 계신 분을 보게 되었죠. 그분은 바로 죽임을 당하신 것 같은 모습의 어린양이셨습니다.


세상의 기대는 강력한 왕이었을지도 모르지만, 하나님의 선택은 순결하고 희생적인 어린양이었습니다. 이분만이 두루마리를 펼치고, 역사의 인을 열 수 있는 유일한 분이세요.


그리고 이 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한가지

우리의 기도 인데요, 와~ 우리의 기도가 금대접

컵에 담긴 향 이래요. 놀라지 않습니까?


좀 더 자세히 볼까요

장면은 한층 깊어지는데요, 이십사 장로와 네 생물이 어린양 앞에 엎드리며 금대접을 올려 드립니다. 그 대접 안에는 향이 가득했는데요, 바로 성도들의 기도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이 땅에서 흘리는 눈물과 부르짖음은 결코 헛되지 않아요. 주님의 보좌 앞에서 금 향로에 담겨 아름다운 향기로 올라간다는 것을 기억해보세요. 상상 할 수로 은혜와 감동이 되유.


그리고 하늘 가득 울려 퍼지는 새 노래. 천상의 찬양대는 노래합니다:


“주께서 피로 각 나라와 족속과 백성과 방언 가운데 사람들을 사셔서, 하나님께 드리셨습니다.”


어린양 예수님은 대속의 희생을 통해, 인류를 구속하셨고 우리를 하나님의 제사장으로 삼으셨습니다.


하늘과 땅, 바다와 그 가운데 있는 모든 피조물이 보좌에 앉으신 이와 어린양께 외칩니다.


“죽임 당하신 어린양은 능력과 부와 지혜와 힘과 존귀와 영광과 찬송을 받으시기에 합당하시도다!”


이 찬양은 우주의 모든 존재가 드리는 경배이며, 영원토록 끊이지 않을 노래입니다.


그리고 네 생물은 ‘아멘’이라 화답하고, 장로들은 다시 엎드려 예배합니다. 이 장면은 단순한 묘사가 아닌, 우리의 삶 속 예배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를 깊이 보여줍니다.


 오늘도 우리는 그 어린양 앞에 서 있습니다

이 감동적인 환상은 과거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어린양 예수님께서 우리의 기도를 받으시고, 하늘 보좌에서 중보하고 계신다는 사실 입니다.


우리는 그분의 피로 구속된 자들이며, 하늘의 예배에 동참하는 자들입니다. 오늘도 주님의 은혜를 기억하며,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나오는 찬양과 기도로 우리 함께 나아가면 어떨까요?


주님, 어린양으로 일곱 인을 여셨고, 나의 삶을 새롭게 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주님은 진정으로 찬양과 경배받으시기에 합당한 분 이십니다. 아멘~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