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22장 #발람사건 #신약묵상 민수기 22장의 발람 사건과 신약적 묵상 민수기 22장은 발람과 발락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처음 발람에게 “가지 말라” 고 명확히 말씀하셨지요. 하지만 발람은 여전히 보상과 명예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다시 하나님의 뜻을 묻습니다. 결국 하나님은 “가라” 고 허락하셨지만, 이는 곧 탐욕을 드러내는 시험 이었어요. 1.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 야고보서 4:3은 이렇게 말합니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기 때문이라.” 발람의 기도는 순종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이미 답을 받은 상태에서 “혹시 다른 길은 없을까?” 를 묻는 욕심 어린 기도였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하나님의 “아니”라는 답을 받아들일 줄 모르고, 다시 물을 때가 많지요. 2. 하나님의 조건부 허락과 주권 하나님은 발람에게 “가라, 그러나 내가 시키는 말만 하라”라고 하셨습니다(민 22:35). 이는 곧 인간이 탐욕으로 움직여도, 하나님의 주권과 뜻은 결코 꺾이지 않는다 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8:28의 말씀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함조차 사용하여 결국 선을 이루시는 분 이십니다. 3. 경고의 사건과 하나님의 은혜 발람의 나귀가 천사를 본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발람이 욕심의 길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경고의 신호 를 보내신 것이지요.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말씀, 양심, 그리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우리에게 “멈춰라, 다시 생각해라”라는 사인을 주십니다. ✝️ 교훈 하나님은 우...
[요한일서 4장] CHRIST 프레임으로 읽는 사랑과 분별
요한일서 4장 묵상

CHRIST 프레임으로 읽는 요한일서 4장 — 사랑과 분별, 그리고 증언

요한일서 4장은 거짓과 진리를 분별하는 기준하나님 사랑의 본질을 또렷하게 펼쳐 줍니다. 아래는 CHRIST(Confess · Hear · Remain · Imitate · Send · Testify) 약자로 한눈에 정리한 설교/성경공부용 노트예요.


CConfess (시인·고백하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요” (요일 4:2)
“예수를 시인하지 아니하는 영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 아니니” (요일 4:3)

참된 영은 성육신(Incarnation)을 고백합니다. 예수님이 참 하나님이시며 동시에 육체로 오신 참 사람이심을 시인하는 고백이 신앙의 분수령이에요. 이 고백이 흔들리면 복음 전체가 흔들리죠.

  • 핵심 질문: 나는 예수님의 신성과 인성을 함께 고백하고 있나요?
  • 실천: 예수는 주이심을 입술과 삶으로 시인해요(롬 10:9 참조).

HHear (듣다)

“우리는 하나님께 속하였으니 하나님을 아는 자는 우리의 말을 듣고…” (요일 4:6)

하나님께 속한 사람은 사도적 복음, 곧 성경의 증언을 귀 기울여 듣습니다. 미묘한 영적 메시지 속에서 진리의 영미혹의 영을 분별하는 기준은 결국 “복음에 귀를 기울이느냐”에 달려 있어요.

  • 점검: 말씀 앞에서 내 마음이 겸손히 열려 있는가?
  • 실천: 하루 10분이라도 소리 내어 성경을 읽고 듣기.

RRemain (거하다, 머물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 (요일 4:16)

사랑은 감정 이상의 거주지예요. 분주한 하루 속에서도 사랑에 머무는 선택을 반복할 때, 하나님 안에 거하는 안정감과 담대함이 자라납니다(4:17–18).

  • 열매: 사랑 안에 거하면 두려움이 물러가고 담대함이 커져요(4:18).
  • 루틴: ‘하루 세 번, 사랑 점검’ — 아침(마음), 오후(말), 밤(행동).

IImitate (본받다)

하나님이 이같이 우리를 사랑하셨은즉 우리도 서로 사랑하는 것이 마땅하도다” (요일 4:11)

사랑의 출발점은 “먼저 사랑하신” 하나님(4:10). 우리는 그 사랑을 모방합니다. 보이지 않는 하나님은 우리가 서로 사랑할 때 세상 속에 보이게 되죠(4:12).

  • 모델: 용서가 어려운 대상 1명을 정해 “축복기도 7일 챌린지”.
  • 표현: 오늘 한 문장, “당신이 소중해요.”를 실제로 메시지/말로 전하기.

SSend (보내다)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에게 이렇게 나타난 바 되었으니 하나님이 그의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심은 우리로 말미암아 살게 하려 하심이라” (요일 4:9)

아버지의 사랑은 보내심으로 드러났습니다. 그리스도인은 그 사랑을 따라 보냄받은 사람으로 살아가요—시간, 재능, 자원을 사랑의 방향으로 “보내는” 삶입니다.

  • 실천: 이웃 필요 한 가지에 구체적 도움 보내기(식사, 동행, 헌혈, 섬김).
  • 가정: 하루 한 번 격려 문자 보내기.

TTestify (증언하다)

“우리가 보았고 증언하노니 아버지가 아들을 세상의 구주로 보내신 것이라” (요일 4:14)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시인하면 하나님이 그의 안에 거하시고 그도 하나님 안에 거하느니라” (요일 4:15)

사랑을 경험한 사람은 자연스럽게 증언자가 됩니다. 내 이야기(간증) 속에서 예수님을 드러낼 때, 하나님 사랑이 오늘도 누군가의 삶에 현현해요.

  • 1분 간증 템플릿: (Before) → 만남(Encounter) → (After) → 초대(Invite).
  • 한 줄 고백: “예수는 나의 주이시고 구주이십니다.”
오늘의 적용: “나는 사랑 안에 거하고 있는가?” — 지금 바로 한 사람을 축복하고, 한 구절을 소리 내어 읽어봐요(요일 4:7–12).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