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인생의 끝에서 묻습니다, 광야의 처음은 무엇을 남겼나요?
끝자락에 서 보니, 시작은 의외로 광야였어요. 길이 막막했는데요, 그 황량한 자리에서 하나님 한 분을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 뿌린 눈물과 기도가 오늘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더라고요.
1. 왜 다시 ‘처음’을 돌아보나요?
우리는 성공과 실패를 크게 기억하지만, 삶을 바꾼 순간은 대개 길이 안 보이던 때였습니다. 한밤의 작은 위로, 뜻밖의 손길, 새벽의 한 줄 말씀… 우연이 아니었죠.
끝의 지혜는 화려한 피날레가 아니라 초심으로의 귀환에서 태어나요. 광야 수업의 핵심은 의존이었습니다. 내 힘보다 크신 분께 기대는 연습이었죠.
2. 남은 인생, 무엇을 붙들며 살까요?
① 감사 — 불평보다 먼저 드리는 고백이에요
만나가 익숙해지면 금세 불평이 나왔죠. 이젠 작아 보이는 공급에도 “충분합니다”를 말해 보자고요. 감사는 마음의 각도를 살짝 틀어 줍니다.
- 아침: “오늘도 숨 쉬게 하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시작해요.
- 한 끼 앞에서: 함께 먹는 은혜를 짧게 감사해요.
- 잠들기 전: 하루의 작은 기적 1가지를 기록합니다.
② 순종 — 완벽한 계획보다 오늘 한 걸음입니다
구름기둥이 멈추면 멈추고, 움직이면 따라갔습니다. 순종은 복잡한 전략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선한 선택이죠. 완벽하지 않아도, 오늘 할 수 있는 착한 일 하나에 발을 내딛어요.
③ 사명 — 나이와 상관없이 갱신됩니다
끝자락이라고 사명이 끝난 건 아니에요. 경험·눈물·축적된 기도는 다음 세대를 살리는 자산입니다. 나눔과 위로, 중보로 흘려보내면 사명은 더 깊어질 거예요.
④ 화해 — 미뤄 둔 관계를 봉합하는 용기입니다
먼저 손 내미는 쪽이 손해일까요? 아니요, 먼저 화해하는 사람이 자유합니다. 남은 날의 품격은 평화에서 빛나죠.
3. 오늘부터 걷는 4일 실천 로드맵
Day 1 — 기억
- 광야 순간 3가지를 적어요(결핍·도움·깨달음).
- “그때 하나님은 ______이셨다.” 한 문장으로 요약해요.
Day 2 — 비움
- 불평 3개를 감사 문장으로 재작성합니다.
- 집과 마음에서 하나를 골라 정리해요.
Day 3 — 화해
- 오래 연락 끊긴 1명에게 안부 메시지를 보냅니다.
- “미안해요·고마워요·축복해요”를 꼭 담아요.
Day 4 — 나눔
- 나의 광야 이야기를 짧게 적어 공동체와 나눠요.
- 시간 1시간·재능 1가지·소액을 필요한 곳에 드립니다.
4. 광야에서 배운 다섯 가지 기술
- 기억하기 — 기록은 은혜를 낡지 않게 지켜 줘요.
- 기다리기 — 멈춤은 낭비가 아니라 충전입니다.
- 단순화 — 꼭 필요한 것만 품으면 가벼워져요.
- 관계 돌봄 — 낯선 땅에서 사람은 선물이었죠.
- 작은 순종 누적 — 작은 “예”가 큰 길을 여는 법입니다.
5. 남은 날을 위한 짧은 기도문
감사: 주님, 오늘의 평범함 속에서 충분함을 보게 하소서.
순종: 완벽함이 아니라 한 걸음을 허락해 주세요. 지금 걷겠습니다.
화해: 용서받은 사람답게 먼저 손을 내밀게 하옵소서.
6. 마음에 새길 문장들
- 끝자락의 지혜는 처음의 겸손에서 다시 피어납니다.
- 승리는 작은 순종 한 걸음으로 시작돼요.
- 나이 듦은 종결이 아니라 사명의 전환입니다.
마지막 고백
주님, 광야의 처음을 다시 붙듭니다. 감사로 시작하고 순종으로 걸으며 사명으로 마치겠습니다. 제 입술에 평화, 제 손에 위로, 제 발걸음에 복음을 허락해 주세요. 남은 날, 그렇게 살겠습니다. 정말 그럴 거예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