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25의 게시물 표시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광야의 처음을 기억하며 남은 날을 걷는 법 은혜 회복 실천 묵상 인생의 끝에서 묻습니다, 광야의 처음 은 무엇을 남겼나요? 끝자락에 서 보니, 시작은 의외로 광야 였어요. 길이 막막했는데요, 그 황량한 자리에서 하나님 한 분 을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 뿌린 눈물과 기도가 오늘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더라고요. 1. 왜 다시 ‘처음’을 돌아보나요? 우리는 성공과 실패를 크게 기억하지만, 삶을 바꾼 순간은 대개 길이 안 보이던 때 였습니다. 한밤의 작은 위로, 뜻밖의 손길, 새벽의 한 줄 말씀… 우연이 아니었죠.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삼상 7:12) 에벤에셀의 고백이 지금도 유효합니다. 끝의 지혜는 화려한 피날레가 아니라 초심으로의 귀환 에서 태어나요. 광야 수업의 핵심은 의존 이었습니다. 내 힘보다 크신 분께 기대는 연습이었죠. 2. 남은 인생, 무엇을 붙들며 살까요? ① 감사 — 불평보다 먼저 드리는 고백이에요 만나가 익숙해지면 금세 불평이 나왔죠. 이젠 작아 보이는 공급에도 “충분합니다” 를 말해 보자고요. 감사는 마음의 각도를 살짝 틀어 줍니다. 아침: “오늘도 숨 쉬게 하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시작해요. 한 끼 앞에서: 함께 먹는 은혜를 짧게 감사해요. 잠들기 전: 하루의 작은 기적 1가지를 기록합니다. ② 순종 — 완벽한 계획보다 오늘 한 걸음입니다 구름기둥이 멈추면 멈추고, 움직이면 따라갔습니다. 순종은 복잡한 전략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선한 선택 이죠. 완벽하지 않아도, 오늘 할 수 있는 착한 일 하나에 발을 내딛어요. ③ 사명 — 나이와 상관없이 갱신됩니다 끝자락이라고 사명이 끝난 건 아니에요. 경험·눈물·축적된 기도 는 다음 세대를 살리는 자산입니다. 나눔과 위로, 중보로 흘려보내면 사명은 더 깊어질 거예요....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끝자락에서 다시 시작: 광야의 처음을 기억하며 남은 날을 걷는 법 은혜 회복 실천 묵상 인생의 끝에서 묻습니다, 광야의 처음 은 무엇을 남겼나요? 끝자락에 서 보니, 시작은 의외로 광야 였어요. 길이 막막했는데요, 그 황량한 자리에서 하나님 한 분 을 의지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 뿌린 눈물과 기도가 오늘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더라고요. 1. 왜 다시 ‘처음’을 돌아보나요? 우리는 성공과 실패를 크게 기억하지만, 삶을 바꾼 순간은 대개 길이 안 보이던 때 였습니다. 한밤의 작은 위로, 뜻밖의 손길, 새벽의 한 줄 말씀… 우연이 아니었죠.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삼상 7:12) 에벤에셀의 고백이 지금도 유효합니다. 끝의 지혜는 화려한 피날레가 아니라 초심으로의 귀환 에서 태어나요. 광야 수업의 핵심은 의존 이었습니다. 내 힘보다 크신 분께 기대는 연습이었죠. 2. 남은 인생, 무엇을 붙들며 살까요? ① 감사 — 불평보다 먼저 드리는 고백이에요 만나가 익숙해지면 금세 불평이 나왔죠. 이젠 작아 보이는 공급에도 “충분합니다” 를 말해 보자고요. 감사는 마음의 각도를 살짝 틀어 줍니다. 아침: “오늘도 숨 쉬게 하셔서 고맙습니다.”라고 시작해요. 한 끼 앞에서: 함께 먹는 은혜를 짧게 감사해요. 잠들기 전: 하루의 작은 기적 1가지를 기록합니다. ② 순종 — 완벽한 계획보다 오늘 한 걸음입니다 구름기둥이 멈추면 멈추고, 움직이면 따라갔습니다. 순종은 복잡한 전략이 아니라 지금 가능한 선한 선택 이죠. 완벽하지 않아도, 오늘 할 수 있는 착한 일 하나에 발을 내딛어요. ③ 사명 — 나이와 상관없이 갱신됩니다 끝자락이라고 사명이 끝난 건 아니에요. 경험·눈물·축적된 기도 는 다음 세대를 살리는 자산입니다. 나눔과 위로, 중보로 흘려보내면 사명은 더 깊어질 거예요....
[요한일서 4장] CHRIST 프레임으로 읽는 사랑과 분별 요한일서 4장 묵상 CHRIST 프레임으로 읽는 요한일서 4장 — 사랑과 분별, 그리고 증언 요한일서 4장은 거짓과 진리를 분별하는 기준 과 하나님 사랑의 본질 을 또렷하게 펼쳐 줍니다. 아래는 CHRIST (Confess · Hear · Remain · Imitate · Send · Testify) 약자로 한눈에 정리한 설교/성경공부용 노트예요. ① C — Confess (시인·고백하다) “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영 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요” (요일 4:2) “예수를 시인하지 아니하는 영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 아니니” (요일 4:3) 참된 영은 성육신 (Incarnation)을 고백합니다. 예수님이 참 하나님이시며 동시에 육체로 오신 참 사람이심을 시인하는 고백이 신앙의 분수령이에요. 이 고백이 흔들리면 복음 전체가 흔들리죠. 핵심 질문: 나는 예수님의 신성과 인성 을 함께 고백하고 있나요? 실천: 예수는 주이심을 입술과 삶 으로 시인해요(롬 10:9 참조). ② H — Hear (듣다) “우리는 하나님께 속하였으니 하나님을 아는 자는 우리의 말을 듣고 …” (요일 4:6) 하나님께 속한 사람은 사도적 복음, 곧 성경의 증언 을 귀 기울여 듣습니다. 미묘한 영적 메시지 속에서 진리의 영 과 미혹의 영 을 분별하는 기준은 결국 “복음에 귀를 기울이느냐”에 달려 있어요. 점검: 말씀 ...

Christ란 무엇일까요? 구약 Messiah → 신약 Christ(Χριστός) 흐름을 정리해요

이미지
  Messiah → Christ 흐름도 | 구약 예언과 신약 성취, 한눈에 정리해봐요 Christ 란 무엇일까요? 구약 Messiah → 신약 Christ(Χριστός) 흐름을 정리해요 “그리스도”는 문자 그대로 기름부음 받은 자 라는 의미입니다. 구약의 약속이 예수 안에서 왕·제사장·선지자 사역으로 완성되죠. Christ (Gk. Christos ) = The Anointed One ⇄ Messiah (Hb. Mashiach ) — ‘기름부음 받은 이’라는 뜻이에요. 핵심  포인트: 명칭을 아는 것을 넘어, 누구의 통치와 은혜 아래 사는가 를 고백하는 일입니다, 그렇죠. 구약: Messiah (메시아) 예언 왕(King) 제사장(Priest) 선지자(Prophet) 다윗 언약: 영원한 왕위 약속(삼하 7:12–16) — 주권과 통치를 예고해요. 고난받는 종: 속죄·대속 의 길(사 53장) — 우리의 죄를 대신하시는 메시아죠. 새 언약과 영의 부어주심(렘 31:31–34; 욜 2:28) — 마음판에 새기는 은혜입니다. Heb. מָשִׁיחַ (Mashiach) → ‘기름부음 받은 자’라는 고유 의미예요. ⟶ 신약: Christ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 Jesus is the Christ (마 16:16; 요 20:31) — 신앙의 중심 고백입니다. 육체로 오심 을 시인(요일 4:2)하면 하나님께 속한 자 로 드러나요. 말씀이 육신 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심(요 1:14) — 임마누엘의 현실이죠. 십자가와 부활(고전 15장) — 죄책과 사망 을 이기신 승리입니다. ...

화석류나무 사이에 선 주님, 메마른 나를 다시 부르시다

  💧 화석류나무 사이에 선 주님, 메마른 나를 다시 부르시다 때로는요, 인생이 마치 모든 것이 멈춘 겨울처럼 느껴질 때 가 있습니다. 기도를 드려도 응답은 더딘 듯하고, 말씀을 들어도 마음에 변화가 없을 때가 있죠. 하지만 오늘 아침, 스가랴의 환상 속 장면이 제 마음을 조용히 두드렸습니다. 📖 스가랴 1:7~17, 화석류나무 사이에 선 주님 스가랴 선지자는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이 여전히 성전을 짓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현실 을 마주하게 됩니다. 그때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밤중에 환상을 보여주시죠. 화석류나무 사이에 한 인물이 서 있고 , 그 주변에는 붉은 말, 자주빛 말, 흰 말들이 함께 있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장면이 아닌, 하나님의 심판과 긍휼, 그리고 회복 을 담은 영적 메시지였습니다. 😌 세상은 평온한데, 하나님의 마음은? 사자들이 말하길 “온 땅이 조용하고 평안하나이다.” 했지만, 하나님은 시온을 위하여 크게 질투 하신다고 하셨습니다. 여기서 '질투'란 단어는요, 인간의 감정과 달라요. 하나님께서 우리를 향한 사랑이 너무 크셔서 , 우리가 세상에 빠져 그분을 잊을 때 느끼는 거룩한 시기심입니다. 겉으로는 평화로워 보이지만 , 하나님의 눈에는 그 백성이 하나님을 향한 예배와 중심을 잃고 방황하고 있다는 것이죠. 🌳 화석류나무, 그리고 나 이스라엘에서 화석류나무는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지만, 사실은 자람도 없고 열매도 없는 나무 입니다. 혹시 지금의 내 모습도 그런 건 아닐까요? 예배는 드리지만 중심은 딴 곳에 있고, 말씀은 듣지만 삶은 변화되지 않은 채 머물러 있는 모습 말이에요. 그런데요, 놀라운 사실 하나! 바로 그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원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올바른 예배 방법

기회를 잡으라, 힘써 대장부 되다